지난 24일 중국 인민은행이 은행 예금잔액에 대한 대출금 잔액 비율(이하 예대율) 규정 완화를 발표했다. 예대율 규정 완화를 통해 은행들의 대출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중국 예대율 규정 완화는 현재 75%인 예대율 수준을 상향하는 것이 아니라 예금 기준을 확대해 은행들의 대출 여력을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가 경기둔화와 신용경색 리스크의 확산을 좌시하지는 않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며 "향후 경기둔화 폭이 확대되거나 신용경색 우려가 확산될 경우 추가로 지준율 인하와 같은 적극적인 유동성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또 일본 정부는 27일 임시 각의를 열고 3조5000억엔(약 32조원) 규모의 긴급 경기부양책을 실시키로 했다. 이번 부양책은 일본의 실질 국내총생산(GDP)를 0.7%포인트 상승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예상했다.
박 연구원은 "유로존 디플레이션 리스크와 유가 급락에 따른 이머징 불안 등으로 미국을 제외한 국가들의 경기 회복세가 지연됐다"며 "중국과 일본은 선제적으로 경기 방어 혹은 부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국도 정책 대응이 필요한 상황에 직면했다고 판단했다.
그는 "이전처럼 중국 유동성 정책 효과가 국내 금융시장까지 확산되지 못하고 있는데다 일본 정부의 추가 부양책이 추가 엔화 약세를 촉발할 수 있다"며 "중국과 일본의 경기부양책이 자칫 국내 금융시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 연구원은 "더욱이 원·엔 환율이 6년10개월래 최저치인 914원 수준까지 하락, 국내 수출경쟁력에 더욱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한국도 추가 정책금리 인하와 재정확대 정책을 실시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alice@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기사보다 빠른 주식정보 , 슈퍼개미 APP]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