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속 현상은 비행기를 띄우는 양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상태를 일컫는다.
호주 항공전문가 제프리 토머스는 29일 호주 A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QZ8501기가 폭풍우를 피하려고 고도를 상승시켰으나 비행 속도가 너무 느려 실속 현상에 빠졌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토머스는 레이더 자료를 바탕으로 "당시 QZ8501기는 고도 3만 6000 피트(1만972m)에서 353노트 속도로 상승하고 있었다"면서 "이는 (원래 냈어야 할 속도보다) 100노트가량 느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토머스는 이어 "A320기처럼 정교한 항공기에서는 그런 일이 일어나서는 안 되지만, 이번에는 험한 기상 여건 때문에 그렇게 된 것 같다"며 "QZ8501기가 매우 강한 상승기류 같은 것을 만났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그 고도에서는 공기 밀도가 낮아 비행기가 너무 느리게 날면 날개가 충분히 양력을 받지 못해 공기역학적 실속에 빠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와 함께 사고기가 폭풍우를 제때 피하지 못한 것은 레이더 문제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A320에 장착된 레이더는 최신 제품이 아니어서 뇌우가 칠 때에는 종종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번에도 조종사가 레이더만 믿고 폭풍우의 심각성을 간과했을 수 있다고 토머스는 지적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