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군사시설보호법’ 등 10개가 넘는 ‘난수표 규제’에 걸려 공장 땅을 사지도 더 짓지도 못하는 기업들의 허탈하고 억울한 사연이 생생히 소개됐다. 이 시리즈 제목에는 유난히 ‘눈물’이 많았는데 억울하고 분해서 흘리는 피눈물이 대부분이었다. “가족이 두 배로 늘었는데 계속 단칸방에 살라는 게 수도권 규제”라는 조병돈 이천시장의 말은 절규에 가까웠다. 조 시장이 재직한 10년 동안 사라진 일자리가 5000개가 넘는다니 그의 속이 얼마나 검게 탔을지 짐작이 간다. 우리 경제가 왜 성장동력을 잃고 좀처럼 반등의 실마리를 잡지 못하는지, 그 근본적인 원인이 결국 경제활동을 옭아매는 규제에 있음을 실감할 수 있는 기획 기사였다.
수도권 규제는 당시로서는 불가피성이 없지 않았다. 세계 주요국들도 산업 성장기에는 수도권 규제를 시행했다. 영국은 1944년 ‘대(大)런던 계획’을 세울 때 수도권 규제정책을 포함시켰다. 일본은 1952년 ‘수도권 기성시가지의 공업 등 제한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며 공장과 대학의 도쿄 지역 신설을 제한했다. 그러나 두 나라도 제조업이 쇠퇴하고 경기가 나빠지자 규제혁파로 방향을 바꿨다. 영국은 대표적인 규제인 ‘사무실개발허가제’ 등을 1979년 폐지했다. 일본도 2002년 ‘공장 등 제한법’을, 2006년엔 ‘공업재배치촉진법’을 폐지했다.
수도권 규제 문제는 역대 정부도 잘 알고 있었다. 노무현 이명박 정부 때도 규제를 완화하긴 했으나 핵심 골격은 그대로 남아 있다. 성장도 못 하게 하고 일자리는 줄이고 있으니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보면 이보다 고약하고 질 나쁜 규제도 없다. 마침 박근혜 대통령도 며칠 전 연두기자회견에서 연내 해결을 약속했다. 암 덩어리를 이제는 걷어내자.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