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설리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01/2015011934861_AA.9511781.1.jpg)
박효덕 전자부품연구원 스마트센서 사업단장(사진)은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대규모로 사물인터넷(IoT)을 준비하는 삼성전자 LG전자 SK텔레콤 등 수요 대기업과 전문 센서기업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박 단장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첨단 센서 산업 육성 전략을 짜는 데 참여한 전문가다. 산업부는 2020년까지 정부 1148억원, 민간 360억원 등 총 1508억원을 첨단 센서 개발에 투자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그는 “한국은 첨단 센서에 필요한 메모리 반도체 MEMS(미세전자기계시스템) 마이크로 재료 등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췄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센서 산업 경쟁력이 낮은 것은 전문인력과 시설 장비 등 인프라가 모두 흩어져 있고 체계적으로 융합해 신기술을 개발하는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국내 센서 보유기술과 연구기관, 기업, 기반 인프라 등 산업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백서를 발간해야 한다고 박 단장은 제언했다. 또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기업과 연구기관이 공동 연구와 사업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개발(R&D) 투자 지원도 필요하다고 했다. 센서 산업은 장비가 비싼 데다 고급 인력이 필요해 소규모 기업이 스스로 투자해 기술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정부 정책을 세우는 데 있어선 미국 독일 등 선진국을 모방하는 빠른 추격자 전략을 채택하되 기술 투자에선 선진국보다 앞서 나가야 한다고 박 단장은 강조했다. 선행 기술에 투자와 역량을 집중해야 승산이 있다는 얘기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