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평균소비성향은 72.9%로 전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평균소비성향은 처분 가능한 소득에 대한 소비 지출액의 비율을 뜻한다. 쓸 수 있는 돈이 100만원인데 72만9000원만 썼다는 의미다.
이는 통계청이 이 지표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낮다.
평균소비성향이 낮아진 것은 지출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에 못 미치기 때문이다.
지난해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3.4% 늘었지만 월평균 지출은 2.9% 늘어나는데 그쳤다.
특히 소득 수준이 낮은 계층의 평균소비성향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하위 0~20%인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은 104.1%로 1년 전보다 7.8%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상위 0~20%인 5분위는 61.6%로 0.4%포인트 증가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무료접수중] 2015 한경 중국주식 투자전략 대강연회 (여의도_3.5)
[알림] 슈퍼개미 가입하고 스타워즈 왕중왕전 함께하기
[언론사최초] 중국 증권사 애널리스트 특별초청! 중국 주식투자 강연회 무료접수!!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