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정부 고민을 이해 못 할 바는 아니다. 안전에 대한 국민적 경각심이 드높아 무슨 일이 있어도 안전만큼은 양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한 번 대형사고가 났다고 전면 금지하고 규제만 다락같이 강화하는 것이 대책일 수는 없다. 세월호 사고도 규제와 매뉴얼이 부족해서 일어난 게 아니었지 않나. 그런 점에서 해양수산부가 연안여객 운송시장의 안전과 서비스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겠다며 지난주 국무회의에 보고한 개선방안을 보면 아직도 무엇이 문제인지 감을 못 잡은 것 같다. 사업자 공모제로 진입 장벽을 철폐하겠다는 게 골자인데, 지금 사업구조에서 수지타산을 맞출 사업자가 있을지 의문이다.
본란에서 누차 지적했듯이 세월호 사태의 근본원인은 연안여객의 영세성에 있다. 선박을 교체하든, 안전시설에 투자하든, 우 梔굻坪?육성하든 돈 없이 될 일은 없다. 연안여객 선사의 3분의 2가 자본금 10억원 미만인 영세업체이고 절반이 적자인 마당이다. 4척 중 하나는 선령 20년이 넘어 조만간 세월호 수준이 된다. 이런 영세 구조에 민간을 경쟁시켜 항공 수준의 안전체계를 갖추겠다니 어이가 없다.
적자 연안여객에 서울 시내버스처럼 공영제를 도입하겠다던 방침도 엄청난 재원부담 탓에 쏙 들어갔다. 결국 공영제는 돈 없어 못 하고, 사업자 공모는 돈이 안 돼 못 하는 꼴이다. 한동안 국가개조 운운하던 정부가 여태껏 한 일이라곤 국민안전처 신설로 정부조직을 늘린 것뿐이다. 안전 대책이든, 서비스 개선 대책이든 연안여객의 경제성 분석부터 철저히 해보고 내놓기 바란다.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