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505/201505064183a_01.9924148.1.jpg)
여드름흉터는 여드름자국에 비해서 조금이나마 파인 느낌이 드는 증상이다. 여드름자국도 여드름흉터에 준해서 시술을 조기에 하기도 하나, 여드름자국은 아직까지도 여드름이 왕성히 재발해서 자꾸만 반복 양산될 때 생기는 증상으로 생각하면 되고 이는 레이저토닝, 제네시스토닝, 인피니 계열과 혈관레이저 계통 등을 여드름과 여드름자국의 상태, 피부타입에 맞게 잘 조합해서 치료 관리해 주면 좋다.
반면 여드름흉터는 펀치요법이라는 수술법, 서브시전(바늘, 에어, 물광필러 여러 가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음), 도트필(이것도 흉터에 대해서는 100% 부식되는 농도 사용으로 회복이 오래 걸릴 수 있음) 등의 방법이 존재하는데 흐름이 역시나 조금은 일상생활 지장도 생길 수는 있는 방법들이 제시된다. 이 같은 이유는 여드름흉터 아래의 섬유밴드가 여드름흉터를 당기고 있는 여드름흉터의 구조에 기인하는데, 이러한 섬유밴드가 끊겨져 나가고 그 안의 살이 리모델링되면서 차 올라야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역시 표준화되고 안전한 범위 내에서 시술 가능한 것이 레이저 기법인데 프락셀은 꼭 알아야 할 이름이다. 프락셀도 기계명으로 따지자면 종류가 엄청나게 많지만 크게 딱지가 지는 계열과 지지 않는 계열로 나눠보면 되고 얕게 딱지가 지는 프락셀듀얼, 프락셀제나 등은 다른 시술들과 병행했을 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니나 시술 깊이의 형성이 오히려 색소치료에 적합한 정도의 얕은 깊이로 봐야 할 것이고 그것마저도 동양인의 피부는 착색이 잘 오는 탓에 장단점이 있다는 점을 알고 자신의 피부에 맞게 치료 선정하면 좋을 것이다. 기계명도 중요하지만, 우선 본인의 피부타입, 여드름흉터의 깊이와 형태, 그것이 또한 얼굴 어느 부위에 있는지, 그리고 기계 계열이 나한테 적합한 방향인지를 먼저 생각한 후에나 그 다음으로 생각할 수 있는 흐름이다.
딱지가 지는 대표 계열인 씨오투프락셀과 어븀야그레이저를 선택했을지라도 그것을 얕게도 깊게도 시술할 수 있고 그 깊이나 재생회복 등의 노하우가 중요한 파트라서 치료원리에 대해서도 소상히 아는 것이 좋다. 대체적으로 한가지 기계 계열로 세심하게 시술을 해볼 수도 있으나 레이저들은 각각의 특장점이 있으므로 이것을 잘 살려서 조합하는 것이 좋다. 다만 레이저 시술은 세상이치와 같아서 한번에 강하게 하면 나중에 효과는 좋을 수도 있는데 회복이 오래 걸리고 무리를 주고, 횟수와 퀄리티 있는 레이저를 조합해서 시술하려면 비용시간이 드는 법이라서 이런 이유로 병원의 컨셉이 천차만별로 나눠지는 것으로 옳고 그름의 문제는 아니라 장단점의 원리로 보면 되고 시술흐름이 합리적이고 자신의 가치관이나 피부상태에 맞으면 좋다. 그러니 쉽게만 생각지 말고, 그렇다고 어렵다고도 생각지 말고, 우선 자신의 피부상태에 대한 자세한 상담부터 받아봐야 하는 분야이다.
양재역피부과 이너뷰피부클리닉 김현 원장은 “다년간 여드름흉터를 치료하고 상담해 오고 있는데 너무 단시안적 시각으로 쉽게 생각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방향의 치료만을 단독으로 반복적으로 무의미하게 이어간 경우가 여드름흉터의 전형적인 실패코스였다. 물론 의미가 없다고만 볼 수는 없고 탄력의 유지도 여드름흉터에 일부 도움을 주고 재생이 되면서 여드름자국 정도에는 도움을 주므로 그런 치료패턴도 장단점이 있다. 하지만 조금이나마 치료전진을 위해서는 딱지가 지는 계열의 프락셀인 씨오투프락셀, 어븀야그레이저로 각각의 흉터 위치와 깊이, 형태에 따라서 일일이 조각하듯이 시술을 하고 레이저토닝, 제네시스토닝, 인피니 같은 여드름자국에는 이것만 해줘도 치료흐름이 좋은 퀄리티 있는 레이저들을 피부상태에 맞게 잘 조합해서 노하우를 가지고 치료하면 좋은 분야이다”라고 조언한다.
[한경스타워즈] 대회 참가자 평균 누적수익률 40%육박! '10억으로 4억 벌었다'
[특집_가계부채줄이기] '그림의떡' 안심전환대출 포기자들, 주택 아파트담보대출 금리 비교로 '반색'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