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를 통해 발견된 물질은 치아와 임플란트와 부착하는 사람 잇몸(치은)의 접합상피에서 찾아 낸 'ODAM(Odontogenic ameloblast-associated protein)' 단백질이다.
나이벡은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원천기술 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서울대 치과대학 박주철 교수팀과 고려대 치주과, 서울대 분당병원 치주과 등과 공동 연구해 이 같은 성과를 냈다.
회사 측은 이번 연구결과가 치주염의 자가 또는 전문가 진단 키트로 상용화 될 경우, 국내외 세계 치주염 환자들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만성질환 치료로 인해 지불하던 막대한 병원비용도 크게 절감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박주철 교수는 "ODAM을 이용한 진단키트를 이용할 경우 막대한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특히 초기 진단을 통해 환자들의 고통을 덜어주는 동시에 치주 조직 보전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미국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회 공식 학술지인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온라인 판에 논문으로 게재 됐다.
박희진 한경닷컴 기자 hotimpact@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대회 참가자 평균 누적수익률 40%육박! '10억으로 4억 벌었다'
[특집_가계부채줄이기] '그림의떡' 안심전환대출 포기자들, 주택 아파트담보대출 금리 비교로 '반색'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기사보다 빠른 주식정보 , 슈퍼개미 APP]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