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TPP협상에서 소외되고 있고 미국으로부터 상당한 ‘왕따’를 당한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심지어 미국 무역대표부 관계자는 “한국이 TPP에 들어오려면 일본처럼 쌀을 양보해야 한다”고 말했다는 보도까지 나왔다. 통상장관의 말이 자꾸 꼬인다는 인상을 준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방한 중인 터여서 더욱 그렇다. 이번 발언의 시기를 놓고도 설왕설래가 있을 정도다. 윤 장관은 시간이 부족한 이유로 지난 정부에서 뭔가 액션을 취했더라면 가능했겠지만 그런 것 없이 현 정부로 과업이 넘어왔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런 논평에 대해 과연 전 정부인들 수긍하겠는가. 오히려 툭하면 지난 정부를 탓한다고 반발할 것이다.
한·중 FTA를 비롯해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베트남과의 FTA, 쌀 관세화 등 밀린 통상이슈들이 많았다는 점은 이해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도 통상환경이 변하면 우선순위 또한 재조정하는 것이 옳다. 윤 장관은 TPP를 두고 중국의 눈치를 본 게 아니냐는 지적에 근거없는 얘기라고 부인했다. 한·중 FTA와 중국이 주도하는 또 다른 다자간 FTA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놓고 저울질을 하느라 시기를 놓친 게 아니었다는 해명이다.
그러나 오히려 우리가 좀 더 주도적으로 나섰더라면 TPP협상 참여 기회를 놓치지도 않았을 것이다. 시한에 쫓겨 타결에 급급했던 한·중 FTA를 두고도 중국에 말려든 게 아니냐는 주장이 적지 않다. TPP 불참의 변을 바빠서라고 둘러대는 것은 불필요한 오해만 불러일으킨다.
[한경스타워즈] 대회 참가자 평균 누적수익률 40%육박! '10억으로 4억 벌었다'
[특집_가계부채줄이기] '그림의떡' 안심전환대출 포기자들, 주택 아파트담보대출 금리 비교로 '반색'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