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임건의안 제출한 야
"문 장관 정리하지 않고는 사회적 기구 출범 의미없다"
'사퇴 연계' 안된다는 여
"문 장관은 공적연금 전문가…거취 문제 생각해본 적 없다"
[ 진명구 / 박종필 / 은정진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05/2015052262241_AA.9998289.1.jpg)
국회 공무원연금개혁 특별위원회 여야 간사였던 조원진 새누리당, 강기정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22일 국회에서 비공개 회동을 하고 공무원연금법 처리와 국민연금 등 공적 연금 강화 방안을 논의할 ‘사회적 기구’ 구성 등에 대한 세부 협상안을 조율했다.
여야는 쟁점이었던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생애 평균소득 대비 연금 지급액) 50%’ 등 구체적인 숫자와 ‘기초연금’ 등의 문구는 명기하지 않는 방향으로 접점을 찾았지만 사회적 기구 구성과 활동 기간 등에 대해선 이견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야당은 국회 규칙에 공적 연금 강화를 담보할 수 있는 문구를 넣을 것을 주장했지만 여당이 반대하면서 최 ?합의문은 작성되지 못했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단·정책위원회 연석회의가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규칙안의 소득대체율 부분에 대해서만 조·강 의원이 협의한 것”이라며 “사회적 기구 구성이나 활동시한에 대해선 원내수석 간 좀 더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야당은 이날 실무협상에서 문 장관 해임을 협상 카드로 제시했다.
강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사회적 기구가 국민연금을 다루고 주무장관이 문 장관인데 (문 장관이 한) 그 많은 언사를 어떻게 할 거냐. 문 장관을 정리하지 않고는 사회적 기구 출범 자체가 의미 없기 때문에 우리는 사퇴 요구를 할 것”이라며 “이에 대해 여당이 검토해 의견을 달라 했고 (그것이) 협상의 최대 고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당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도 공무원연금 협상과 별개로 문 장관의 사퇴를 관철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공무원연금 개혁안 처리와 문 장관의 사퇴를 연계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유 원내대표는 “문 장관 거취 문제는 전혀 생각해본 적도 없다”며 “공무원연금 개혁과 연계하는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조 의원도 “분명한 건 문 장관 문제는 연금과 연계하면 안 된다는 것”이라며 “공적 연금 강화에 대해선 문 장관이 전문가이고 사회적 기구를 운용하는데도 문 장관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조·강 의원은 26일 다시 만나 최종 합의문 문구를 결정할 예정이다. 새누리당은 같은 날 의 萍騎만?열어 합의 내용을 당론으로 추인하는 절차를 거칠 계획이다.
진명구/박종필/은정진 기자 pmgj@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