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런 의장은 지난 22일(미국 현지시간) "올해 안 어느 시점에는 연방기금금리 목표치를 높이기 위한 초기 조치에 나서고 통화정책의 정상화 절차를 시작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발언, 미국 금리 인상 논의에 불을 지폈다.
통상 미국이 금리를 올려 한국과 금리 차이가 좁혀지면 외국인의 자금 유출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한국도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것이 전통적인 견해다.
문제는 유럽과 일본이 정반대 방향인 양적완화로 달리고 있다는 점이다.
원화의 통화가치가 높아지고 수출은 부진한 상황에서 올해 들어 신흥국들은 정책금리를 앞다퉈 내리는 '통화전쟁'을 벌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를 함부로 올리면 수출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
금리를 올리기도 내리기도 어려운 고민은 이주열 한은 총재의 발언에서 수차례 드러났다.
이 총재는 26일 경제동향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옐런 의장이 연내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해서 앞으로 국제금융시장의 움직임과 자금흐름을 잘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 통화당국 입장에서는 세계적으로 금리 인상 기조로 돌아서는 것이 걱정스러운 가 ?큰 이유는 가계부채다.
금리 인상은 이자 상환 부담 증가로 이어져 현금 흐름이 취약한 한계계층부터 타격을 주게 된다.
한국은행의 가계신용 통계를 보면 작년 말 현재 가계부채 총량은 1089조원이다. 1년 전보다 가계신용은 67조6000억, 가계대출은 66조4000억원이나 늘었다. 국민 1인당 2150만원 정도의 빚을 진 셈이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이상 흐름에 가까운 부동산 경기 활황세와 맞물려 대출 증가 속도가 너무 가파르다는 점 때문에 우려하고 있다.
지난달 말 현재 은행권 가계대출(모기지론 양도 포함) 잔액은 579조1000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8조5000억원 증가했다.
금융권의 여·수신 자금흐름에 대한 속보치 성격의 집계가 개시된 2008년 이후 월간 은행 가계대출 증가액으로는 최대 규모다.
한국의 소득대비 가계부채비율이 미국 등 주요 선진국보다 높은 수준이라는 점도 문제다.
가처분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3년 기준 한국이 160.7%로 미국(115.1%)이나 OECD 평균(135.7%)을 능가한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빚이 느는 것은 확실하다"면서 "다만 과도하게 늘지 않도록 하는 정책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대회 참가자 평균 누적수익률 40%육박! '10억으로 4억 벌었다'
[특집_가계부채줄이기] '그림의떡' 안심전환대출 포기자들, 주택 아파트담보대출 금리 비교로 '반색'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