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땅값 7년래 최고 4.6% 상승
부동산 경기회복·지방 개발사업 효과 맞물려
세종시 3년째 1위…제주·울산도 10%대 상승
서울, 전국 평균에 육박…경기·인천은 2%대
[ 이현일 기자 ] 올해 개별공시지가 평균 상승률(4.6%)이 2008년(상승률 10.0%)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게 나온 건 2011년 지방 대도시에서 시작된 부동산시장 회복세가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으로 확산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전국 주요 대도시 혁신도시 건설, 충청남도와 경상북도 도청 이전 등 지역별 개발사업 효과가 더해진 결과라고 부동산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505/2015052833631_AA.10025998.1.jpg)
전국 대부분 지역 땅값이 오름세를 나타낸 가운데 부산과 대구 등 지방 광역시(5.7%)와 시·군 지역(6.8%)의 땅값 상승폭이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평균 상승률(3.6%)을 크게 웃돌았다. 공공기관 이전과 관광단지 조성사업 등 지방도시를 중심으로 개발 사업이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세종 20.8% 올라 전국 1위
개별공시지가 상승세는 2010년부터 6년째 계속됐다. 광역자치단체 중에선 세종시가 상승률 20.8%를 기록해 전국 17개 시·
부동산 경기회복·지방 개발사업 효과 맞물려
세종시 3년째 1위…제주·울산도 10%대 상승
서울, 전국 평균에 육박…경기·인천은 2%대
[ 이현일 기자 ] 올해 개별공시지가 평균 상승률(4.6%)이 2008년(상승률 10.0%)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게 나온 건 2011년 지방 대도시에서 시작된 부동산시장 회복세가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으로 확산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전국 주요 대도시 혁신도시 건설, 충청남도와 경상북도 도청 이전 등 지역별 개발사업 효과가 더해진 결과라고 부동산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505/2015052833631_AA.10025998.1.jpg)
전국 대부분 지역 땅값이 오름세를 나타낸 가운데 부산과 대구 등 지방 광역시(5.7%)와 시·군 지역(6.8%)의 땅값 상승폭이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 평균 상승률(3.6%)을 크게 웃돌았다. 공공기관 이전과 관광단지 조성사업 등 지방도시를 중심으로 개발 사업이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세종 20.8% 올라 전국 1위
개별공시지가 상승세는 2010년부터 6년째 계속됐다. 광역자치단체 중에선 세종시가 상승률 20.8%를 기록해 전국 17개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