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의 개요
![](http://www.hankyung.com/photo/201506/2015060574321_01.10061866.1.jpg)
논어-인(仁)을 함양하다
‘논어를 읽지 않고는 세상을 논하지 말라’는 말이 있다. 논어의 사상이 그만큼 넓고 깊다는 얘기다. 논어는 단지 동양철학만이 아니다. 서양에서도 논어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논어는 공자 사후 제자들이 공자와 그 제자의 대화를 엮은 책이다. 우리가 흔히 인용하는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는 논어 첫구절에 나오는 말이다.
논어의 핵심 키워드는 인(仁)이다. 어짊은 사람의 근본이고, 이 어짊을 갈고닦는 것이 사람의 도리라는 것이 골자다. 이를 위해선 끊임없이 수양하고 배워야 한다. 예(禮)는 인을 닦아가는 한 방법이다. 공자는 근본이 서야 도가 생긴다(本立道生)고 강조한다.
공자는 흔히 마음의 씀씀이나 행위를 군자와 소인으로 구별해 설명한다. 군자는 잘못이 생기면 자기를 돌아보지만 소인은 남을 탓한다, 군자는 궁핍하면 견디지만 소인은 궁핍하면 나쁜 생각을 품는다. 군자는 두루 어울리지만 옳지 않은 생각에 휩쓸리지 않고 소인은 무리를 짓지만 뒤에선 화합하지 못한다는 식이다.
반면 도가사상의 선구자인 노자는 공자의 이런 구획논리를 반대한다. 획을 그음으로써 피아가 구별되고 높고 낮음, 선악, 밝고 어둠이 나뉘면서 갈등이 생긴다는 것이다.
맹자-다스림의 근본을 말하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506/2015060574321_AA.10046592.1.jpg)
맹자는 누구보다 덕치(德治)를 주장한다. 그가 강조하는 덕치의 근본엔 백성, 즉 민(民)이 자리한다. 그는 곳곳에서 정치의 근본은 백성임을 강조한다. 여민동락(與民同樂·백성과 더불어 즐거움을 함께한다)엔 백성에 대한 그의 마음이 잘 담겨 있다. 또한 맹자는 인간의 강한 기상, 즉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강조한다. 맹자는 ‘호연지기는 의로움과 짝하고 바른 길과 함께 하는 것이니 만약 그것이 없다면 인간은 정신적으로 굶어죽게 된다’고 했다. 인간의 본성에 인의예지에 자리하고 있다는 사단지심(四端之心)도 맹자가 출처다.
중용-생각의 균형을 강조하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506/2015060574321_AA.10046593.1.jpg)
대학-리더의 자질을 말하다
대학(大學)은 사대부들의 자기경영 교과서 성격이 강하다. 주자는 공자의 제자 증자가 저자라고 적고 있다. 누구나 알고 있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는 대학이 원전이다. 대학은 세상을 다스리려는 자는 자신부터 닦으라고 강조한다. ‘나를 닦아서 근본을 세우는 것(修身爲本)’이 다스림이나 경영의 출발이라는 것이다. 대학은 리더들에게 위선을 경계하라고 한다. 하루하루 새로워지고 다시 새로워진다는 일일신 우일신(日日新 又日新)도 대학이 원전이다.
신동열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shins@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