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최저임금위원회 3차 전원회의는 최저임금 비교 지표로 ‘임금 평균’도 함께 활용키로 했다. 지금까지 임금노동자의 한가운데인 중위 임금을 일관되게 비교 대상으로 삼아왔다. 통상 임금 평균은 이 중위 임금보다 높다. 결국 비교점이 올라가게 됐다. 최저임금을 무리하게 올리려는 노동자위원들이 사측위원들의 우려와 반대에도 불구하고 표결로 밀어붙이면서 추가 기준치로 채택된 것이다.
생산력의 뒷받침 없는 최저임금 인상이 곧 실업률 상승을 의미한다는 것은 교과서에도 나오는 원리다. 지난달에는 중소기업 70% 이상이 최저임금이 오르면 고용과 사업을 축소하겠다는 설문결과도 나왔다. 신규 채용 철회·채용인원 감축(40.7%)과 기존 고용인원 축소(9.3%)가 불가피하다. 그런 중소기업이 절반에 달했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타격도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더 커져 영세기업 근로자의 실직 위험이 더 높아진다. 생산성이 뒷받침 안되는 모든 임금인상은 거품일 뿐이다.
내년부터 정년 60 섰?시행을 앞두고 청년세대들의 취업난도 위험수위로 치닫고 있다. 실질적인 청년실업률이 22%에 달해 정부도 하반기 경제정책의 핵심을 청년고용 문제로 잡았다. 그런데도 노동 개혁은 계속 그 자리다. 임금피크제만 해도 양대 노총이 가로막는 바람에 공청회조차 열리지 못했다. 감세, 구조개혁 등 아베노믹스로 일본의 대졸 취업률은 96.7%로 완전고용에 근접했는데 한국의 대졸 취업률은 50%대다. 이 와중에 한국의 지난해 임금인상률은 8.2%로 두 배 이상이었다. 정규직 중심의 소수 노동 기득권층만 온갖 걸 다 누린다. 일자리가 없어지면 다락같은 최저임금도 다 소용없다. 최저임금을 올리면 노동시장 신규 진입자와 미숙련자만 죽을 고생을 하게 된다.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