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공단은 호남고속철도 익산∼정읍 구간에 총길이 28km의 400㎞/h급 시험선(테스트베드)을 구축했고 지난 3월 현장 적용을 위한 성능검증 시험을 마쳤다.
철도공단이 기술개발을 마친 분야는 크게 환경소음 분야, 선로구조물 분야, 전차선로 분야로 나뉜다.
우선 환경소음 분야에서는 고속열차가 400㎞/h급의 속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3dB 이상 낮추기 위한 방음벽 상단 장치와 슬래브 도상용 흡음블럭을 시험선에 각 400m씩 부설해 시험한 결과, 기존의 방음벽보다 3dB 이상의 소음 저감효과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 방음벽 높이별 공사비를 8∼18% 줄일 수 있어 슬래브 도상용 흡음블럭은 같은 성능의 독일 등 해외제품에 비해 20%가량 생산비가 저렴해 사업비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선로구조물 분야에서는 시험선 내 11곳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 철도노반 침하기준 등 400km/h급 설계기준 8건을 도출했고, 앞으로 신설될 고속철도와 기존선 개량사업에 핵심기술로 적용이 가능하다.
전차선로 분야에서는 400㎞/h급 속도에서 안정적으로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구조가 단순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전차선 등 핵심부품 7종을 개발했고, 철도사업에 적용하면 단선 1㎞당 1억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된다.
강영일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은 "철도기술 선진화와 해외 고속철도시장 진출을 위해 앞으로도 고속철도 기술 국산화와 철도 신기술 연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
[강연회_무료] 선강퉁 시대,중국주식 투자전략 대강연회 (24일_서울 여의도 개최) 접수중! 中 현지 애널리스트 초청!
[이슈] 30대 전업투자자 '20억원' 수익 낸 사연...그 비법을 들어봤더니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