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 되기 전에 적극 돌봐야
[ 이미아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06/2015061204181_AA.10093136.1.jpg)
대한적십자사(한적) 희망진료센터 센터장을 맡고 있는 손지훈 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정신건강의학과 조교수(사진)는 최근 서울 평동 서울적십자병원 희망진료센터에서 한 인터뷰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한적 희망진료센터는 2012년 6월 한적과 서울대병원, 정몽구재단이 공동협약을 체결해 출범한 곳이다. 한적은 서울적십자병원을 진료 공간으로 제공하고, 서울대병원은 의료진 파견 및 중증 환자 진료를 담당한다. 정몽구재단은 희망진료센터에 매년 8억원을 지원한다. 희망진료센터엔 내과와 산부인과, 소아과, 정신과, 가정의학과의 5개 진료 분야가 있다. 또 영어와 중국어, 몽골어, 베트남어 통역 상담사가 상주한다.
손 센터장은 희망진료센터 설립 기획단계부터 서울대병원 의료진을 대표해 참여했고, 개소 후 줄곧 센터를 지켜오고 있다. 그는 “희망진료센터 업무는 대학병 ?의사로서 공공성을 지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보람 있는 일”이라며 “특히 한국 사회의 의료시스템에서 가장 소외된 계층이라 할 수 있는 다문화가정과 외국인 근로자들의 다양한 정신상담 사례를 통해 저 또한 배우는 게 많다”고 말했다.
희망진료센터에 오는 환자 중 약 4분의 1이 정신과를 찾는다. 대부분 우울증과 불안증세를 호소한다. 남편의 가정폭력을 못 이겨 희망진료센터로 도망쳐 온 뒤 한적에서 연결해 준 교회에 숨어 지내던 환자도 있고, 난민 신분으로 본국 탈출 과정에서 심한 고문을 당한 후유증으로 정신분열증에 시달리다 이곳에서 치료받은 뒤 호전된 환자도 있다고 한다.
손 센터장은 “외국인 근로자 대부분이 젊은 나이에 한국에 와서 고된 육체노동을 하다 보니 한국어를 배울 시간이 없다”며 “아이들은 부모와 상호작용하며 언어를 배우는데 이 과정에서 언어 학습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훗날 왕따 문제의 원인이 된다”고 말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4개월만에 수익률 100% 기록한 투자 고수들의 열전!! (6/19일 마감)
[이슈] 30대 전업투자자 '20억원' 수익 낸 사연...그 비법을 들어봤더니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