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원·충남 보령·나주혁신도시 공공비율 높은 곳 민간아파트 눈길

입력 2015-06-17 21:04  

[ 김보형 기자 ] 현대엔지니어링이 올해 초 서울 마곡지구에서 분양한 ‘힐스테이트 마스터’는 820가구 모집에 1순위 청약자만 2만2635명이 몰렸다. 앞서 분양한 공공 아파트인 ‘마곡엠벨리’(2097가구) 1순위 청약자 4874명보다 네 배 이상 많다. 공공 아파트는 의무거주 기간 등이 길어 선호도가 민간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는 분석이다.

선호도 차이는 입주 후 집값에도 영향을 미친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경기 성남 판교신도시의 민간 아파트인 산운마을 5단지 한성필하우스는 최근 1년간 3.3㎡당 매매 가격이 13.8% 오른 반면 6단지 휴먼시아는 같은 기간 0.8%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공공 아파트와 민간 아파트의 분양가 차이는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2005~2009년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3.3㎡당 평균 912만원으로 공공 아파트(841만원)보다 8.4%(71만원)가량 비쌌지만 2010~2014년에는 민간 아파트 916만원, 공공 아파트 871만원으로 분양가 차이는 5.1%(45만원)로 줄었다.

공공 아파트가 많은 곳에 들어서는 민간 아파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공공 아파트 비율이 절반(47%)에 가까운 충남 보령시에서는 대림산업이 ‘e편한세상 보령’을 분양 중이다. 677가구 모두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전용 85㎡ 미만 중소형으로 구성됐다.

수도권에서는 수원·용인 광교신도시의 공공 아파트 비율이 65.4%로 높은 편이다. 현대산업개발은 이달 광교신도시 C3블록에서 ‘광교 아이파크’를 공급한다. 1240가구 대단지로 단지 바로 앞에 광교 호수공원이 있어 주거 여건이 쾌적하다. 공공 아파트 비율이 47.3%로 서울에서 가장 높은 노원구에서는 두산건설이 ‘녹천역 두산위브’를 분양한다. 재개발 아파트로 서울 지하철 1호선 녹천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4개월만에 수익률 100% 기록한 투자 고수들의 열전!! (6/19일 마감)
[이슈] 30대 전업투자자 '20억원' 수익 낸 사연...그 비법을 들어봤더니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