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도긴개긴 vs 도찐개찐

입력 2015-06-23 20:31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오십 보 백보 요, 도진 개진이라고 밀어붙인다 해도 별 수 없는 일이기는 하지만…’(조선작 소설 ‘미스양(楊)의 모험’, 1975) ‘그거나그거나 도진 개진. 개꿈여 개꿈. 찬규는 원앙이 녹수(綠水)를 만난 듯, 물 본 기러기 꽃 본 나비가 된 듯.’(박범신 소설 ‘불의 나라’, 1987) ‘도찐 개찐~ 도찐 개찐~ 엎어치나 메치나, 거기서 거기, 오십 보 백 보~’(KBS 2TV 개그콘서트 ‘도찐개찐’ 코너, 2014)

앞에 인용한 두 문장은 유명 문인의 작품, 뒤의 인용문은 인기 개그맨들의 풍자코너에 나오는 말이다. 30~40년 전에는 ‘도진 개진’이었던 것이 ‘도찐 개찐’으로 바뀐 걸까. 쓰임새로 봐서 뜻은 대충 알겠는데 어디에서 유래된 말일까. 표준어법으로는 뭐가 맞을까.

국립국어원은 그동안 ‘도 긴 개 긴’만 표준어로 인정했다. 이 말은 원래 윷놀이에서 나온것이다. 도개걸윷모의 다섯 말 가운데 도 긴(한 끗 차이), 개 긴(두 끗 차이)을 일컫는다. 긴은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를 뜻하니 한 칸인 도나 두 칸인 개의 거리는 별 차이 없다는 얘기다.

그저께 국립국어원은 ‘표준국어대사전 2015년 2분기 수정’을 통해 ‘도찐개찐’을 ‘도긴개긴’으로 순화해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나마 기계적인 띄어쓰기는 어색하므로 붙여써도 무방하다고 했다. 그러면 ‘진’과 ‘찐’은 어디어 왔을까. 충청도 사투리에서 온 것이라고 한다. ‘긴’이 입말 ‘진’으로 바뀌고 된소리 ‘찐’으로 변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된소리(ㄲㄸㅃㅆㅉ)나 거센소리(ㅋㅌㅍㅊ)가 예사소리보다 언중(言衆)의 입맛에 더 달라붙는다. 우리 입말에 맞는 것은 사실 ‘도찐개찐’이다.

우리말 ‘칸’과 한자 ‘간’도 비슷하다. 세 칸의 띠집이 곧 초가삼간(草家三間)이다. ‘칸’은 공간의 구획이나 넓이를 나타내는 말로 한자어 ‘간’에서 왔다. 그러나 ‘칸막이, 빈칸, 방 한 칸’ 등 모두가 쓰는 ‘칸’이 표준어가 됐다. 그런 점에서 보면 많은 사람이 쓰는 ‘도찐개찐’을 애써 막을 필요가 있을까 싶다. 짜장과 짬뽕을 ‘자장’과 ‘잠봉’으로 발음하면 웃음보만 터진다.

다중이 즐겨 쓰는 게 살아있는 언어다. 우렁쉥이보다 멍게, 선두리보다 물방개를 더 많이 사용함으로써 표준어가 되지 않았던가. 부정어에만 한정했던 ‘너무’를 두루 쓰도록 허용한 마당에 도찐개찐을 금하는 건 아무래도 좀 옹색하다. 맞춤법을 고침으로써 사람들의 언어습관을 바꾸겠다는 것은 선후가 뒤바뀐 것일 수도 있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