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IB의 투자 사업은 건설·토목 인프라와 통신·IT, 전력, 상하수도 등으로 광범위하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아시아 지역의 인프라시설 투자수요는 2020년까지 매년 73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세계은행(WB)과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기존 다자개발은행의 투자비용은 이것에 한참 못 미치는 연간 2360억 달러 수준이다. AIIB가 이 빈자리를 메울 수 있는 셈이다.
한국은 창립회원국 57개국 중 5위의 지분율을 확보해 우리 기업에 제공될 기회가 그만큼 많아지게 됐다. AIIB의 수권자본금은 1000억 달러로, 한국은 이 가운데 37억4000만 달러를 배분받아 지분율이 3.81%다.
여기에다 부총재나 상임이사국 지위까지 얻을 경우 아시아 인프라 시장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진출 문호는 한층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정부는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일대일로(一帶一路)'를 핵심 국책사업으로 확정해 AIIB가 이 사업을 실현하는 기능을 맡을 가능성이 커졌다.
일대일로는 육상과 해상으로 서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중동에 걸쳐 새로운 실크로드를 건설해 아시아 경제공동체를 만들겠다는 구상이어서 대규모 투자를 유발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우리 정부는 AIIB를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준비에 들어갔다.
지난 25일 내놓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민관이 참여하는 합동대응체계인 '코리안 패키지'(가칭)를 구성해 AIIB 관련 사업에 대규모 자금 공급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AIIB는 남북경협을 확대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도 있다.
현재 북한은 AIIB에 가입할 수 없어 북한의 인프라 개발 사업은 AIIB 영역에 해당되지 않는다. 북한이 AIIB 가입국 조건인 IBRD나 ADB 회원국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 북한이 개방 노선을 걷게 되면 사정이 달라질 여지가 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중국이 북한과의 연결 도로 및 철도망 확충 같은 각종 인프라 사업에 AIIB를 활용하게 되면 한국은 창립 회원국으로서 자연스럽게 참여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