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09년~2013년 '건강보험진료비 지급' 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자연유산'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 인원이 2009년 1만4천명에서 2013년 1만7천명으로 연평균 3.9%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p>분만 진료 인원 중 자연유산이 차지하는 비율도 2009년 3.6%에서 2013년 4.3%로 증가했다.</p>
![]() |
▲ '자연유산' 연도별 건강보험 진료현황 (단위:명) <자료=보건복지부> |
![]() |
▲ 분만 진료인원에서 '자연유산'이 차지하는 비율(2013년)-(단위:명) <자료=보건복지부> |
<p>자연유산을 직장 가입자와 비(非)직장 가입자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도 참고할 만하다. </p>
<p>분만할 때 자연유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모든 연령에서 직장 가입자가 비(非)직장 가입자보다 높았다. 그 차이는 40~44세 3.9%, 25~29세 2.8% 순으로 나타났다.</p>
![]() |
▲ 분만 진료인원 중 '직장 가입자'와 '비(非)직장 가입자'의 자연유산이 차지하는 비율(2013년) -(단위:%) |
<p>절박유산이란 임신 20 ?이내에 질출혈을 동반하여 실제 유산으로 진행 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산부인과 전문의들은 이 때를 산모가 절대적인 안정을 취하고 관찰을 필요로 하는 시기로 분류한다.</p>
<p>♦자연유산이란?</p>
<p>임신 20주 이내에 자연적으로 임신이 종결되는 상태를 뜻하며, 대부분 임신 초기인 14주 이내에 자궁 내 태아가 사망하여 발생하는 계류 유산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p>
<p>♦자연유산의 원인</p>
<p>대부분 '염색체 이상'이 원인이다. 염색체 이상이라고 하면 유전되는 병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실제로 유전적 질환 보다는 수정되어 감수 분열하는 과정에서 확률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원인을 찾기 힘든 경우가 많다. 이외에도 갑상선 질환이나 면역학적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자연유산이 흔하게 나타나기도 한다.</p>
<p>♦자연유산의 예방법</p>
<p>주원인이 확률적으로 일어나는 염색체 이상이므로 아직까지는 이 원인에 대한 예방은 어려우나 갑상선 질환, 당뇨, 면역질환 등 내과질환을 교정하거나 3회 이상의 자연유산이 동반되는 반복 유산에서는 원인을 밝히고 교정하기 위한 유전자검사, 내분비 검사, 면역학 검사 등이 필요할 수 있다.</p>
<p>도움말 이산희 교수/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산부인과 </p>
백승준 한경닷컴 정책뉴스팀 기자 sunofwhite425@gmail.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