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대상은 이라크(500만 달러), 남수단(200만 달러), 우크라이나(100만 달러), 수단(50만 달러), 팔레스타인 내 가자지구(50만 달러) 5곳이다. 이들 지역에서 발생한 강제이주 피난민은 1400만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지원금은 세계식량계획, 유엔난민기구, 국제적십자사 등 국제기구들을 통해 난민캠프 내 정착지원, 청소년과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육·보건 사업에 사용될 예정이다. 정부는 올 초 시리아(1000만 달러)와 예멘(50만 달러)에 인도적 지원을 결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정부의 2015년도 인도적 지원 예산(403억원) 중 약 50%에 해당하는 200억원이 분쟁에 따른 인도적 위기 문제 해결에 사용된다. 외교부 관계자는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만성적 재난 지역에 대한 인도적 지원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濚婉?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