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자유학기제는 중학교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지필시험에 대한 부담없이 진로체험, 동아리 등 체험중심 활동에 참여해 자신의 꿈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교육제도다.</p>
<p>2015년 1학기에는 전국 중학교의 2%인 51개 교에서 9천943명이 참여했고, 2학기에는 90%에 가까운 2천500개 학교에서 36만3천892명의 학생이 참여할 예정이다.</p>
<p>김재춘 교육부 차관은 6월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자유학기제 진로체험협의회'(이하 협의회)를 주재하고, 기업과 대학, 정부의 자유학기제 학생 체험활동 지원 내용을 분석한뒤 체험활동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p>
<p>정부는 자유학기제의 활성화를 위해 중앙행정기관은 물론 민간기관과 대학들이 폭넓게 참여해 일선 학교를 지원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p>
<p>이날 협의회에서는 44개 중앙부처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 공공기관이 연간 4만6천156개 프로그램을 178만5천123명의 학생들에게 제공하기로 했다. 모든 공공기관이 중학생들의 체험학습 교실로 개방되는 것이다.</p>
<p>민간기관도 마찬가지다. 51개 전경련 소속 회원기업이 연간 11만 명의 체험활동을 지원하고, 48개 대학과 61개 전문대학에 소속된 109개 기관도 31만9천591명에게 체험활동을 지 幣?예정이다.</p>
<p>자유학기제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현장직업 체험형(71%)이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현장견학형(15%), 강연·대화형(9%), 직업실무 체험형(2%), 학과 체험형(2%), 진로캠프형(1%)의 순이었다.</p>
<p>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이날 "중앙정부기관이 제공한 '미니 UN기후변화협약회의'에 중학생 30명이 12시간 동안 수업을 받기도 했다"며 "'생활 속 좋은 습관 만들기'와 '국립공주병원 공무원이 하는 일', '지질학자가 하는 일', '일일 공단 직원 임명' 등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일선 학교에 보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p>
<p>또 '태양광 전동차의 동작원리와 시승체험'을 비롯해 'Y염색체가 사라지고 있어요', '3D프린터 체험' 등 민간기관이 제공한 자유학기제 프로그램도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p>영국의 한 직업교육기관이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 시절 직업체험을 경험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향후 직업을 갖게 될 확률이 5배 이상 높다고 한다.</p>
<p>영국 정부는 이런 연구결과를 존중해, 일선 공공기관과 기업의 종사자들이 학교를 찾아가거나 문을 열고 활발하게 직업체험처를 제공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p>
<p>우리나라도 시험을 치르지 않고 학교밖에서 자유롭게 꿈을 찾는 중학생들의 '자유학기제'가 도입 3년만에 현장 착근을 눈앞에 두게 됐다.</p>
황석연 한경닷컴 정책뉴스팀 기자 skyn11@qompass.co.kr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