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판서 강제성 희석
[ 전예진 기자 ] 일본 정부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산업시설에서 조선인의 강제노동이 있었음을 인정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전날 발언을 부정하는 것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은 지난 5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에서 일본 메이지(明治) 산업혁명 시설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결정된 직후 도쿄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토 구니(佐藤地) 주유네스코 대사의 발언에 대해 “강제노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사토 대사는 이날 등재 결정과 관련한 일본 정부의 발언문에서 “일본은 1940년대에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against their will)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로 노역했으며(forced to work),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정부도 징용 정책을 시행했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발표했다. 이는 사실상 강제노역으로 해석되지만 일본은 일어판 번역문에서 ‘원하지 않음에도 일하게 됐다’는 수동형 표현을 사용해 강제성을 희석시켰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 당국자는 “발언문의 영문 표현은 누가 보더라도 강제노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전예진 기자 ace@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