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은 자체 실사 결과 일부 해양 플랜트에서 2조원대의 누적 손실을 반영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망갈리아중공업 등 자회사 부실까지 포함한다면 손실 규모는 3조원대에 육박할 수도 있다는 것.
이 증권사 김선미 연구원은 "현재로선 워크아웃 혹은 자율협약 중 어떤 형태로 진행될 지 미지수"라며 "워크아웃으로 진행할 경우 조선업의 선수금 지급보증 제도로 인해 금융기관의 피해가 우려된다는 점은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 1분기 말 대우조선해양의 연결 순차입금은 8조5000억원, 미청구 공사금액은 9조4000억원"이라며 "유동성차입금도 1조5000억원, 올 연말까지 만기 도래하는 회사채는 5000억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는 2분기 실적발표와 채권단의 의사결정을 확인하기 전까지 기존 '매수' 의견을 유지할 수 없다는 판단"이라며 투자의견 '의견 보류'를 제시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2015 대한민국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 평가대상...종합대상 'NH투자증권'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기사보다 빠른 주식정보 , 슈퍼개미 APP]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