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보다 주택 공급부족 속에 초저금리, 전세난, 재건축 규제 완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여건이 갖춰진 셈이다. 과거에 투기적 수요가 집값 상승을 주도했던 것과 달리 지금은 실수요가 움직이고 있다. 거품이라고 단정할 수도 없다. 하지만 경기침체에다 1100조원의 가계부채를 짊어진 상황에서 유독 부동산만 활황인 것을 정상으로 보긴 어렵다. 본격 거품은 아니더라도 그 초입쯤 와 있는 셈이다.
시장에선 부동산 10년 주기설을 거론한다. 1970년대 이래 10년 주기로 활황과 위축을 반복한 터다. 2000년대 중반 노무현 정부 시절엔 종합부동산세 등 온갖 규제를 총동원했어도 전국 집값이 5년간 63.6%나 뛰었다. 수급 불균형이었다. 이번에는 거꾸로 모든 규제를 다 풀고 나니 집값이 꿈틀대고 있다. 급기야 정부는 가계대출을 규제하겠다고 나섰다. 빚 내서 집 사라고 독려하던 정부가 가계부채 총량 규제로 선회 ?것이다. 주목할 만한 시그널이 아닐 수 없다.
부동산 가격은 대개 수급, 정부규제, 인구구조, 경기, 금융 등에 의해 좌우된다. 2017년 이후 주택 분양이 줄지어 대기하고 있고 초저금리도 미국 금리인상을 계기로 반대 상황으로 돌변할 수 있다. 그동안 부동산 살리기에 노심초사했던 정부가 집값이 급등하면 언제 규제의 칼을 빼들지 모른다. 쏠림과 관성이 강한 부동산 시장은 큰 흐름이 바뀌면 빠져나오기도 쉽지 않다. 저성장 고착화와 인구구조는 부동산에 악재다. 당장은 집값의 추가 상승을 점쳐도 길게 보긴 어렵다. 어떤 자산가격도 ‘나 홀로 호황’인 경우는 없다.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