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대한민국 광복 70주년이다. 광복(光復)은 주권, 즉 민족 고유의 주체성을 회복했다는 뜻이다. 35년이라는 기나긴 일제의 억압과 탄압에서 벗어나 스스로를 다스리고 자주적 국가 건설을 시작했다는 의미다.
‘한강의 기적’은 광복 70년 대한민국 경제 발전을 보여주는 상징어다. 2014년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은 1조4104억달러로 세계 13위다. 실질 GDP는 1953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7.3%씩 성장했다. 60년 남짓에 GDP는 3만배 이상 급증했다. 수출만으로는 세계 6위 국가다. 광복 이후의 슬로건 ‘수출입국’이 현실화된 것이다.
광복 70년은 인구, 수명, 교육, 문화 등 삶의 전반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국력을 뒷받침하는 인구는 불과 60여년 만에 두 배로 늘었다. 1952년 3만명에 불과했던 대학생은 2014년 210만명을 넘어섰다. 1947년 3만7000명에 그쳤던 유선전화 가입자는 현재 전체 인구에 육박하는 4700만명을 넘고, 1982년 300명이던 이통통신 서비스 가입자는 5000만명을 돌파했다. 한류(韓流)는 대한민국이라는 좁은 땅을 넘어 전 세계로 확산 중이다. 한민족 주권을 짓밟은 일본에서조차 한류 열풍은 여전히 거세다.
광복 70년의 눈부신 발전은 무엇보다 이 나라에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두 敾?굳건히 세운 결과다. 특히 창의, 혁신, 도전의 기업가 정신은 한국을 경제대국에 올려놓은 일등공신이다. 물론 모든 여정이 순탄치만은 않았다.
이승만 대통령이 단행한 토지개혁은 시장경제의 기초를 무너뜨리지 않으면서 정부가 취한 최선의 경제개혁이었다. 이승만 정부의 유상몰수 유상분배의 토지개혁으로 대한민국은 근대화 · 공업화의 길로 들어설 수 있었다. 이 대통령은 의무교육을 실시해 근대화에 필요한 인적자본을 길렀다.
반면 북한은 무상몰수 무상분배로 공산사회주의의 길로 들어서 결국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로 전락하고 말았다. 북한은 약속과 달리 무상분배를 실시하지도 않았다.
오늘의 대한민국은 70년전 지도자의 선택으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은 나라가 됐다.
광복 70년은 분단 70년이다. 이는 역사의 아이러니며, 한민족의 아픔이다. 진정한 광복은 한반도 분단을 극복하고 평화적 통일을 이루는 것이다. 광복은 아픔의 뒷면이다. 남만을 탓하는 역사는 다시 반복된다. 스스로의 힘을 키워 세계의 중심에 우뚝 서야 광복은 완성된다. 4, 5면에서 이승만 건국 대통령과 광복 70년 역사를 상세히 살펴보자.
신동열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shin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