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8명만 국가유공자 인정받아
"여성에 별도 유공자 기준 필요"
[ 이미아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08/2015081925031_AA.10399792.1.jpg)
심 소장은 영화 암살의 여주인공 ‘안옥윤’ 캐릭터 자문을 맡았다. 그는 최근 전화 인터뷰에서 “영화의 성공으로 그동안 외면받은 여성 독립운동가들이 재조명받는 기회를 얻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또 “망국의 설움 앞에 남녀 구분 없이 맞섰던 용감한 여성들의 진실을 찾는 게 내 임무”라고 덧붙였다.
‘암살’ 제작진이 심 소장을 찾은 것은 지난해 초였다. 영화 제목과 줄거리는 알려주지 않은 채 “여성 독립운동가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를 제작하고 싶은데 참고 자료가 너무 없다”고 하소연했다. 제작진에 강원 일대에서 여성 최초로 의병대장 활동을 했던 윤희순 의사 평전을 비롯해 사이토 마코토 조선총독 암살을 기도했던 남자현 지사, 공군비행사였던 권기옥 지사 등 여러 여성 독립운동가 관련 자료를 제공했다. “여태까지 없었던 캐릭터를 새롭게 창조하는 과정이었습니다. 여러 인물의 성격을 복합한 것으로 알고 있어요. 여성이 수동적 존재가 아니었음을 증명한 계기가 됐죠.”
심 소장은 우연하게 여성 독립운동가 연구에 뛰어들었다. 그는 2005년 부산대 대학원에서 백범 김구 관련 근현대사 박사 논문을 준비하던 중 돌연 한의학을 공부하겠다고 선언하고 고시원에 들어갔다. “공부하다 보면 ‘왠지 이게 내 길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에 방황할 때가 생기잖아요. 그때가 그랬어요. 어느 날 고시원에서 윤희순 의사를 다룬 TV 다큐멘터리를 봤어요. ‘이거다’ 싶어 한의학 공부를 접고 다시 학교로 돌아가 여성 독립운동 연구를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죠.”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를 세운 것은 2009년이었다. 심 소장은 “참고 자료가 워낙 부족한 분야다 보니 무조건 현장을 뛰며 유족의 증언을 듣고, 관련 기록이라면 무엇이든 뒤지는 방법밖엔 없다”고 말했다.
정부로부터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은 여성 독립운동가는 248명. 하지만 심 소장에 따르면 국가유공자 외에도 활동 기록이 조금이라도 남아 있는 여성 독립운동가가 1931명에 달한다. 심 소장은 “여성 독립운동가는 가부장적 문화 영향으로 기록을 찾기 어려운 데다 일제강점기에도 여성은 양형 기준이 남성보다 조금 낮았기 때문에 여성 독립운동가를 위한 별도 유공자 기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2015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 개막..실시간 매매내역,문자알림 서비스!!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