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대북 방송용 확성기 철거 시한으로 못박은 22일 오후 5시를 불과 2시간여 앞두고 남북 통일안보 분야 최고위 당국자가 판문점 직접 접촉을 통해 관련 문제를 논의키로 했다고 청와대가 전격 발표했다.
김규현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날 오후 청와대 긴급 브리핑를 열고 "남한과 북한이 현재 진행 중인 남북관계 상황과 관련해 오후 6시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만나기로 합의했다"
고 밝혔다.
남측 최고위급 인사는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북측은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노동당 비서가 배석키로 했다.
남북 최고위급 접촉 제안은 북측이 전날 먼저 건넨 것으로 확인됐다. 김 1차장은 "북한이 어제 오후 4시경 김양건 당비서 명의 통지문을 통해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김양건 당 비서와의 접촉을 제의해 왔다"고 밝혔다.
이에 "우리 측은 어제 오후 6시경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명의로 김양건 당비서가 아닌 황병서 총정치국장이 접촉에 나오라는 수정 통지문을 보낸 바 있다"고 설명했다.
북측 역시 우리에게 김 滑?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 등 통일 안보 분야 최고위급 정부 당국자 배석을 요구했다.
북측이 우리 측 수정 제안을 받아들여 황병서 총정치국장을 대표로 하는 고위급 파견을 약속했고, 우리 측도 북측 의견을 수용해 국가안보실장과 통일부 장관 등 최고위 정부 인사가 배석키로 하면서 남북 접촉은 전격 성사됐다.
회담 장소를 판문점 '평화의 집'으로, 시간은 이날 오후 6시로 하자는 제안 역시 우리 측이 먼저 건냈다. 자신들의 최후통첩 시간인 오후 5시를 지난 시간이었지만 북한은 이를 수용했다는게 청와대 설명이었다.

남북 고위당국자들은 이 자리에서 지난달 목함지뢰 사건부터 최근 서부전선 무력 도발까지 일련의 긴장고조 사태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긴장을 완화할 수 있는 합의점을 도출해낼 전망이다.
앞서 북한은 지난 20일 노당동 중앙군사위원회 명의로 48시간(22일 오후 5시) 내에 대북 심리전 방송 수단인 확성기 등을 모두 철거하라고 요구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강력한 군사적 행동을 불사하겠다는 최후통첩이었다.
실제 북한은 이날까지 비무장지대(DMZ) 내에 직사화기인 76.2mm 견인포를 전진 배치하고, 후방의 포병부대를 남측 방향으로 전진배치하는 등 무력 도발 긴장감을 높였다.
김민성 한경닷컴 기자 mea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