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실 책임 논란
홍기택 산은 회장 "손실 없다고 보고받았다"
대우조선 전·현직 경영진 "손실 반영 직전에 알았다"
국책은행 관리책임 도마에
산은·국정원 출신 자문역 60명에 억대 연봉 지급
[ 박동휘 / 김일규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09/2015092135961_AA.10570982.1.jpg)
국회 정무위원회가 21일 진행한 산업은행 국정감사에서는 산업은행 자회사인 대우조선해양이 지난 2분기 갑작스레 3조2000억원의 손실을 낸 것과 관련, 부실의 책임 소재를 가리려는 여야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
전·현직 대우조선 경영진과 대주주인 산업은행은 책임 회피성 해명만 쏟아냈다. 대우조선의 남상태·고재호 전 사장 등은 “손실이 반영되기 직전에서야 부실을 알았다”고 했고 홍기택 산업은행 회장은 “대우조선에서 손실이 없다고 보고해 알 도리가 없었다”고 말했다. 산업은행을 퇴직하고 대우조선에 재취업한 전직 최고재무책임자(CFO)들도, 대우조선을 회계감사한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 담당자도 이날 국감에서 “부실을 예상할 수 없었다”는 말을 되풀이했다.
○“몰랐다”는 변명만 난무
![](http://www.hankyung.com/photo/201509/2015092135961_AA.10571528.1.jpg)
이에 대해 2012년부터 올 5월까지 대표를 맡았던 고재호 전 대우조선 사장은 “현대중공업 등 경쟁사보다 해양플랜트 수주 시점이 늦어 부실 반영도 늦어진 것”이라며 연임을 위해 손실을 은폐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대우조선이 수주한 해양플랜트 64기 중 66%를 수주한 남상태 전 사장 역시 “수주 당시 공사 손실에 대비한 충당금은 적절하게 설정했다”고 말했다.
유의동 새누리당 의원은 국감 증인 모두가 대우조선 부실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자 “그렇다면 3조원 손실이 자연재해냐”고 꼬집기도 했다.
○대우조선, 자문역에는 돈잔치
대우조선이 자문·고문·상담 등 자문역 60명에게 특별한 자문 실적도 없이 억대의 연봉과 고급 차량, 고액의 사무실 임대료 등을 지원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민병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산업은행에서 제출받은 ‘대우조 ?자문·고문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04년부터 지금까지 대우조선과 그 자회사의 자문역을 맡은 사람은 모두 60명으로, 이들은 평균 88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연봉이 2억원이 넘는 자문역도 있었다.
자문역 중에는 산업은행(4명)과 수출입은행(2명), 국가정보원(2명), 방위사업청(1명), 해군 장성(3명) 출신도 상당수 포함됐다. 민 의원은 “대우조선의 자문료 지급과 관련해 산업은행은 감사원의 주의 요구를 받고도 방치했다”며 “산업은행의 대우조선에 대한 감독 의무 태만이 대우조선 부실 사태의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이날 국감에선 산업은행 출신이 비금융 자회사에 낙하산으로 취업한 데 대해서도 비판이 잇따랐다. 산업은행은 지난 5년간 328명의 퇴직자 중 43명을 투자회사에 내려보낸 것으로 지적됐다. 이와 관련, 홍 회장은 “앞으로 산업은행 퇴직자들이 자회사나 투자회사에 재취업할 때 전문성 있는 인사들을 골라내도록 추천 기구를 꾸릴 것”이라고 말했다. 홍 회장은 “지금처럼 은행이 건설 조선 등 비금융 자회사를 관리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자회사 관리 방식을 바꾸겠다는 뜻도 밝혔다.
박동휘/김일규 기자 donghui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