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욱진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09/2015092136951_AA.10572287.1.jpg)
1884년이 돼서야 서울 종로 육의전 상인들은 일본 상인들의 횡포에 대항해 민족계 상인조직인 한성상업회의소를 창립했다. 한국 최초의 상공회의소가 세워진 것이다. 이후 부산 인천 등 항구도시를 중심으로 상업회의소가 속속 설립됐다. 일제강점기 동안 상업회의소들은 지역 조선 상공인의 권익과 상권 옹호에 앞장섰다.
8·15 광복 후인 1946년 조선상공회의소와 22개 지방상의가 설립됐다. 조선상공회의소가 지금의 대한상공회의소로 이름이 바뀐 것은 1948년이다. 6·25전쟁의 혼란 속에서도 유일한 민간 경제단체로서 명맥을 유지했다. 1952년 12월 상공회의소법이 국회를 통과했고, 이듬해 10월 서울 등 24개 지방상공회의소가 새로운 법에 의거해 설립됐다. 초대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후일 재무부 장관을 지낸 이중재 씨였 ?
대한상의는 1960년대 경영상담, 실무강좌, 정책설명회 등 진흥사업을 확장했다. 수출 부흥기였던 1970년대에는 국제사업을 활발히 벌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정부 주도의 경제 구조보다는 시장지향형 경제를 주장하면서 ‘시장경제 파수꾼’으로서 역할에 중점을 뒀다. 지금도 규제 개혁은 대한상의가 가장 역점을 두는 사업이다. 대한상의의 역할은 시대에 따라 바뀌었지만 기업들을 지원하고 대변하는 조력자라는 점은 변함이 없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한상의는 경제단체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또 모든 업종의 대·중소기업을 회원으로 둔 종합 경제단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전국적 조직을 가진 유일한 경제단체이기도 하다. 71개 지역상의는 각 지역 상공업계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대한상의는 특별법인 상공회의소법에 의해 설립돼 산업인력 양상과 자격검정 시행 등 정부 위탁사업도 하고 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상의는 역사나 구성 면에서 경제단체의 ‘맏형’과도 같은 존재”라며 “기업을 위해 정부에 쓴소리도 마다하지 않는 진정한 대표 경제단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서욱진 기자 venture@hankyung.com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2015 한경스타워즈 실전 塚渼潤?개막..실시간 매매내역,문자알림 서비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