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레스택 지음 / 홍승효 옮김 / 휴머니스트 / 336쪽 / 1만6000원
[ 김보영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09/2015092459261_AA.10589288.1.jpg)
마음의 작동 원리는 인류사에서 오랫동안 탐구돼온 주제다. 마음에 대한 질문을 던지기 전에 고려해야 하는 문제는 ‘자기참조의 역설’이다.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우리는 그 질문에 대해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철학적인 방식으로 접근했을 때 발생하는 역설을 피해서도 마음을 탐구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뇌 영상과 인지 연구, 해부학 연구 등 과학의 힘을 빌리는 것이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509/2015092459261_AA.10588487.1.jpg)
두뇌의 능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는 ‘슈퍼 브레인’이 가능할까. 뇌는 평생에 걸쳐 변화하는 가소성을 지니고 있다. 저자는 이를 이용해 뇌기능 강화훈련을 반복하면 아동기뿐 아니라 노년기에도 뇌의 수행능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조언한다. 다만 나이가 들면 과거의 기억이 새로운 기억을 방해하는 ‘순행 간섭’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기억하기 원하는 정보를 반복적으로 검토해 옛 정보를 밀어내는 것이다.
침울한 사람과 함께 있으면 그러지 않으려 노력해도 부정적인 분위기에 휘말리기 쉽다. 심리학자들이 ‘정서 전염’이라 부르는 과정이다. 정서 전염은 뇌의 겉질과 겉질밑층 사이에 불균형이 생기기 때문이다. 겉질은 공감하는 사람과 공감의 대상이 되는 사람을 뚜렷하게 구분하지만 겉질밑층은 이 구분이 그다지 뛰어나지 않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정서적 각성을 잘 통제하는 사람이 정서 전염에도 빠질 위험이 낮다. 자아와 타인을 구분하는 능력과 각성을 잘 유지하는 것 모두 뇌의 아래마루 영역과 앞이마 영역이 관여해서다.
인간의 두뇌를 특별하게 해 주는 영역은 뇌의 최전면에 있는 이마앞엽과 이마엽이다. 사람이 자신을 미래에 투영할 때 사용하는 부분이다. 이 영역 덕분에 우리는 자신의 행동에 따른 장기적 결 倖?예측할 수 있으며 마치 과거의 기억처럼 미래의 모습을 생생하게 떠올릴 수 있다. 이 영역은 연속적인 정보를 순서대로 기억하는 능력, 작업 기억 등도 담당한다.
저자는 현대 도시인의 분노와 불안에 대한 현실적 문제부터 자유의지와 무의식에 대한 철학적 질문까지 마음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뇌과학으로 흥미롭게 풀어냈다.
김보영 기자 wing@hankyung.com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2015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 개막..실시간 매매내역,문자알림 서비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