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교육부 기대대로 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해 보인다. 지난해 수능에서 영어 원점수가 90점 이상인 수험생이 전체의 15.6%(9만664명)다. 서울의 4년제 대학 모집정원(7만7990명)보다도 많다. 그렇지 않아도 ‘물수능’인데 절대평가로 바뀌면 영어 변별력은 아예 사라진다. 대신 다른 과목의 영향력이 커져 사교육의 풍선효과가 생겨날 것이다. 대학들도 대학별 고사나 면접을 통해 변별력을 보완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영어 사교육이 더 번성할 수도 있다.
물론 영어 사교육과 과잉교육은 문제다. 하지만 교육부는 번지수를 잘못 짚었다. 학부모와 학생들이 소위 ‘영어 하나라도 건지자’며 막대한 돈과 시간·노력을 쏟아붓는 것은 비단 수능 때문만이 아니다. 글로벌 경쟁시대에 영어는 보병의 소총과도 같은 필수 무기다. 더구나 영어능력에 따라 평생 사회·경제적 격차가 벌어지는 ‘잉글리시 디바이드’ 시대다. 수 돗低?절대평가로 바꾸면 모두가 영어 부담에서 벗어날 것으로 믿는다면 너무도 순진한 발상이다.
사교육을 줄이고 싶으면 학교 영어교육부터 강화할 일이다. 그래야 어학연수는 꿈도 못 꾸는 저소득층 자녀들의 영어 격차를 다소나마 줄여줄 수 있다. 무상급식을 한다며 원어민 교사부터 줄이고, 수능이 쉬워진다고 대충 가르치는 식으론 나라의 미래도 기약할 수 없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