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9% "정치가 경제 발목"
83% "국회가 여론 반영 못한다"
전문가 40% "포퓰리즘 심하다"
[ 손성태/추덕영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10/2015100481831_AA.10634891.1.jpg)
![](http://www.hankyung.com/photo/201510/2015100481831_AA.10634892.1.jpg)
연령대별로는 2030세대와 40대 이상 기성세대 간 시각차가 도드라졌다. 20대와 30대는 정부에 대한 불만이 컸다. 쇄신 대상 1호로 모두 정부를 꼽았다. 반면 40대 이상은 공통적으로 국회의 변신이 가장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정치적 성향에 따라서도 의견은 갈렸다. 새누리당 지지자들은 최우선적으로 변해야 할 대상으로 국회(55.6%)를 지목했고,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층은 국회(32.4%)보다 정부(41.6%)의 쇄신이 더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일반 국민 10명 중 8명(78.7%)은 ‘정치권이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응답했다. ‘국회 등 정치권이 국민의 여론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82.5%)거나 ‘국회가 유권자 표만 의식한다’(79.8%)는 설문 결과도 일반인의 정치 불신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줬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510/2015100481831_AA.10634893.1.jpg)
야당 등 소수당의 협조 없이는 법안 통과가 어려워 ‘국회마비법’으로 불리는 국회선진화법에 대해서는 55.7%가 ‘개정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33.5%는 ‘여야 합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원안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10.8%는 답변하지 않았다. ‘5년 단임 대통령제를 바꾸는 것이 좋다’(54.9%)는 의견이 ‘5년 단임제 유지’(41.8%)보다 많았다.
전문가 4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선 ‘정치가 경제의 방해요소가 되고 있다’는 응답이 전체의 95.5%에 달했다. ‘매우 그렇다’는 정치 혐오성 응답자가 63.3%, ‘약간 그렇다’는 정치 불신층은 32.3%였다.
전문가 그룹의 40%는 한국 정치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선거를 의식한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을 지적했다. ‘타협하지 않는 여야 대결정치’(22.5%) ‘정치인의 국정능력 부족’(22.3%) ‘정치 리더의 부재’(6.8%) ‘지역주의 정치’(6.8%) 등도 한국 정치의 고질병으로 꼽혔다.
원활한 국정운영을 위해 개헌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대통령 4년 중임제로 개헌해야 한다’는 응답이 66%로 ‘5년 단임제 유지’(18%)를 앞질렀다. ‘의원내각제 도입’(14.8%) 의견은 많지 않았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 / 일러스트=추덕영 기자 choo@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