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공개된 '스윙' 엔진은 모바일 기기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Mac 또는 PC 환경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게임을 생중계할 수 있으며, 이 화면을 관전하는 시청자들은 '카메라 뷰 변경' '줌 인·아웃' 등 생중계 중에도 다양한 경험을 즐길 수 있다.
민코넷은 이날 기술 시연을 위해 '스윙' 엔진이 적용된 데모 1인칭 슈팅(TPS) 게임 '쉐도우 건' 생중계 시연영상을 직접 보여주며 관련 기술을 조목조목 설명해 나갔다.
직접 기술들을 설명해 나간 김태우 대표는 "현재 모바일 생중계에서 '모바일 상에서 생중계시 기기에 많은 부하를 주고 1시간에 평균 600MB에 이르는 큰 데이터 전송량이 부담인 점'과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PC와 스마트폰과의 유선 미러링 방식의 경우 항상 Mac 또는 PC 환경이 있어야 생중계가 가능한 문제점' 등이 있다"며 "민코넷의 '스윙' 엔진은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한 유일한 솔루션"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어 "'스윙' 엔진을 적용하면 게이머들은 모바일게임 생중계시 스마트폰 CPU 처리 부하를 80% 이상 감소시킨 상태에서 기존 동영상 전송방식 대비 용량을 약 80~95% 대폭 줄여서 전송하기 때문에 모바일 상에서 게임생중계에 전혀 부담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또 "'스윙' 서버에서는 실시간으로 게임 실행 코드와 게이머가 전송한 게임플레이 캡처 데이터를 결합해 동영상을 생성해준다"며 "생성된 동영상은 '유튜브'나 '페이스북' '트위치' 같은 서비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스윙' 엔진의 수익모델인 '스윙 에즈(Ads)'를 설명하면서 "'스윙 Ads'를 적용하면 게임중계시 광고가 나타나지 않고 게임 시청자들에게만 특정광고를 제공할 수 있어 불편을 초래하지 않고도 게임개발사들은 게임 방송을 시청하면서 부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며 "실제 게임 플레이 내에서도 특정 위치에 도달한 캐릭터로 랜덤하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어 몰입도가 극대화된 광고를 내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스윙' 엔진이 적용된 게임은 게임 플레이 영상을 오큘러스 VR 등 가상현실 기기에서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향후 대중화가 예상되는 VR시대에 가장 쉽고 값싸고 대량의 컨텐츠를 공급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다"고 밝혔다.</p>
박명기 한경닷컴 게임톡 기자 pnet21@naver.com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2015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 개막..실시간 매매내역,문자알림 서비스!!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