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복지 수준 96개국 중 60위…소득보장은 최하위

입력 2015-10-12 15:18  

한국의 노인복지 수준이 세계 96개국 중 60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50위에서 10계단 하락한 결과다.

국가인권위원회와 영국의 국제노인인권단체 '헬프에이지 인터내셔널'은 12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유네스코 회관에서 '제5회 에이지 토크'를 열어 '2015년 세계노인복지지표'(GAWI)를 발표했다.

세계노인복지지표는 헬프에이지가 소득보장, 건강상태, 역량, 우호적 환경 등 4가지 영역 13개 지표를 종합적으로 측정해 2013년부터 매년 발표하는 것이다.

한국은 100점 만점으로 매겨지는 이 지표에서 44점을 얻어 60위를 기록했다.

작년에는 50.4점으로 50위를 기록한 바 있다.

영역별로는 소득보장 부문에서 24.7점을 얻어 최하위 수준인 82위였고 건강상태 부문은 58.2점으로 42위, 역량 부문은 47.6점으로 26위, 우호적 환경 부문은 64.1점으로 54위를 각각 기록했다.

특히 소득보장 부문과 우호적 환경 부문 점수는 아시아 지역 평균에도 미치지 못했다.

크로아티아(61위), 러시아(65위), 방글라데시(67위) 등이 한국과 함께 60위권을 형성했다.

아시아 국가 중에는 일본(8위), 키프로스(30위), 태국(34위), 베트남(41위), 스리랑카(46위), 필리핀(50위), 키르기스스탄(51위), 중국(52위), 타지키스탄(58위) 등이 한국보다 순위가 앞섰다.

세계노인복지지표 1위 국가는 스위스였고 이어 노르웨이, 스웨덴, 독일, 캐나다 등 순이었다.

미국은 9위에 올랐다.

주은선 경기대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이날 행사에서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49.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2.1%의 4배 이상임을 지적하고,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등 공적연금에서 노인이 배제되는 사각지대를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GM "올해 내수 점유율 10% 자신…임팔라 국내 생산 검토 중"] [신동빈, 롯데면세점 수성 나섰다 … "5년간 사회공헌에 1500억 푼다"] ['하나의 역사' 약인가 독인가…교육계도 찬반대립] [정차시 시동 끄는 쉐보레 '스파크 에코'…통근용으로 제격] [명품 넘보는 스마트워치…디자이너 옷 입고 '고급화']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이슈] 40호가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2015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 개막..실시간 매매내역,문자알림 서비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