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개 지자체 61억 성과급
관련 사업 재투자 '선순환'
[ 김해연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10/2015101229681_AA.10681986.1.jpg)
완주군이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마련한 ‘경로당 노인 여가 코디네이터 양성사업’에 참여한 박씨는 “지금은 봉사하는 마음으로 일하지만 고령화 추세인 농촌 현실을 고려할 때 앞으로 직업으로서도 충분히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완주군은 올해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대상으로 받은 인센티브 2억원 중 일부를 이 사업에 투입했고 20명의 전문인력을 배출했다.
최용준 씨(동국대 경주캠퍼스 원자력에너지시스템공학과 4학년)는 졸업을 앞두고 경상북도가 마련한 ‘청년일자리사관학교’에 참여하고 있다.
‘카티아 3D’ 프로그램을 배우는 최씨는 “취업과 연관된 과정인 데다 교육비도 지원받아 도움이 많이 된다”고 말했다. 경상북도 역시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돼 받은 사업비 2억원으로 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가 재투자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자치단체장 임기 중 일자리 목표와 일자리 창출 대책을 지역 주민에게 공시하도록 한 이 제도는 지역 실정에 맞는 일자리를 발굴해 성과를 내면 중앙정부가 그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주는 형태로 운영한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평가를 통해 58개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에 61억1000만원을 인센티브로 지원했고, 이 인센티브는 다시 67개 일자리 관련 사업비로 재투자됐다.
622만6000명(고용률 66.2%)의 취업 실적으로 종합대상을 받은 경기도는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와 글로벌 인재양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도는 물론 수원시·남양주시 등과 함께 받은 인센티브 8억5000만원이 새로운 일자리 사업의 밑거름이 됐다”고 설명했다.
부산시와 사하구·해운대구 등도 부산경제진흥원, 동주대 산학협력단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시이벤트 기획전문가, 바이오헬스산업 전문인력 양성 사업을 하고 있다.
주무현 한국고용정보원 일자리사업모니터링센터장은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는 지방자치단체가 고용문제에 관심을 두도록 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며 “일자리 문제를 자치단체장 선거의 핵심 공약사항에 포함되도록 했으며,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동 및 시민사회단체, 기업 등이 협력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주 센터장은 이어 “일자리 공시제를 내실 있게 운영하려면 담당 인력의 전문성과 함께 인기보다 지역민의 삶의 질을 더 생각하는 단체장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2015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 개막..실시간 매매내역,문자알림 서비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