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시점, 불확실성 높아 예단 어려워"
"정부 대책이 소비 회복 뒷받침…가계부채 급증은 우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는 15일 "중국의 금융시장 불안은 진정된 것이 사실"이라며 "중국 당국 분석에 따르면 주가도 조정 단계를 거친 것으로 보이고 환율도 크게 움직일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밝혔다.
10월 기준금리 결정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중국 시장에 대해 이같이 밝히며 "다만 실물경제에선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인상 시점에 대해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 예상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그는 "중국 경기둔화 우려감이 높고 미국 경제지표도 예상보다 부진하면서 Fed의 금리인상 시기가 늦춰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아졌다"며 "그러나 연내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재닛 옐런 Fed 의장이 연내 금리 인상 계획을 수차례 언급했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 중 연내 금리 인상 의견을 가진 위 便?많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그는 "Fed의 결정을 포함해 국내외 모든 여건을 종합해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국내 경제 상황에 대해선 "글로벌 경기 둔화로 수출이 7월보다 부진한 모습을 나타내는 등 성장경로 불확실성이 고조된 상황"이라며 "다만 내수는 소비, 투자를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특히 소비 부문에서 빠른 개선세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가 진정된 가운데 개별소비세 인하, 블랙프라이데이 시행 등 정부의 소비활성화 대책이 소비 회복세를 뒷받침하고 있다"며 "앞으로의 소득 여건을 감안해 봐도 소비 개선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주거비 부담이 증가, 노후 소득 불안 등 구조적 제약 요인이 상존해 있어 본격적인
소비 회복세가 나타날 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가계부채 증가세에 대해선 우려를 드러냈다. 가계부채가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지만 빠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어 잠재 리스크가 상존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는 "가계부채 급증은 소비와 성장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향후 취약계층의 재무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한은 금통위는 10월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현행 1.5%의 기준금리를 유지했다.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기존(7월 전망)보다 0.1%포인트씩 낮춰 각각 2.7%, 3.2%로 하향 조정했다.
이 총재는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7월보다 소폭 낮췄지만 큰 차이는 없다"며 "2분기 실적이 메르스 영향으로 0.1%포인트 하향 조정된 점만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2015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 개막..실시간 매매내역,문자알림 서비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