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소비자물가 지난해보다 0.9% 상승…11개월째 0%대

입력 2015-11-03 08:38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1개월 연속으로 0%대를 이어갔다.

그러나 양파(91%), 쇠고기(12%) 등 농축수산물값이 크게 올랐고 공공요금과 전월세 가격도 상승, 오름폭은 작년 11월 이후 가장 컸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0.9%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2월 0.8%를 기록한 이후 11개월째 0%대다.

10월 상승률은 작년 11월의 1.0%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1%에 근접했다.

양파, 마늘, 쇠고기 등 농축수산물 가격이 오른 점이 물가 상승 폭이 높아진 요인이 됐다.

수도권 전월세 가격과 대중교통 요금이 올라간 점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끼쳤다.

시내버스 요금(9.0%), 전철요금(15.2%), 하수도요금(14.4%) 등 공공요금 가격이 전반적으로 올랐다. 전세는 4.0% 상승했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7∼9월 한시적으로 전기료가 내렸다가 10월 들어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 물가 상승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2.3% 상승해 10개월 연속 2%대를 나타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2.6% 올랐다.

생활물가는 0.1%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지만 ㅌ? 과일, 어류 등 신선식품물가는 3.7% 올랐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낮지만, 장을 보는 소비자들에게는 낮은 물가상승률을 피부로 느낄 수 없는 이유다.

품목별로 상승률을 보면 농축수산물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0% 상승했다.

국산 쇠고기(12.2%), 양파(91.0%), 마늘(33.9%), 파(43.2%), 돼지고기(3.7%), 배(17.9%)가 큰 폭으로 올랐고 당근(-31.3%), 브로콜리(-18.5%), 고등어(-8.1%) 등은 내렸다.

공업제품은 0.3% 하락했다.

휘발유(-15.9%), 경유(-20.9%), 자동차용 LPG(-23.4%), 등유(-28.0%), 취사용 LPG(-15.5%) 석유류 제품 가격이 하락세를 이끌었다.

전기·수도·가스는 7.2% 하락했다.

서비스 물가는 2.1% 상승했다.

집세는 2.8% 올랐다. 전세는 4.0%, 월세는 0.2% 각각 올랐다.

공공서비스 가격은 2.0% 상승했다. 시내버스료(9.0%), 전철료(15.2%), 하수도료 (14.4%) 등이 오른 영향을 받았다.

[현대·기아차, 10월 '신차 카드' 통했다] [SKT 빅딜에 이통사 '발끈'…"공정 경쟁 저해" 한목소리] [현대·기아차 신흥국서 브레이크 걸렸다…향후 대책은?] [장동현의 '플랫폼' 야심…SKT-CJ '미디어 빅딜'] [삼성·LG 상무급 임원 저격수, 쉐보레 임팔라 2.5]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인터뷰] 가치투자의 달인, "휘열" 초보개미 탈출비법 공개
[강연회] 가치투자 '이채원.최준철.이상진' 출연...무료 선착순 접수중 (11.6_여의도 한국거래소)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