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대우조선해양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와 K-ICT 빅데이터센터 주관으로 12일 열린 '2015 빅데이터컨벤션 및 성과전시회'에 참여해 그간의 연구 내용을 공개했다고 13일 밝혔다.</p>
<p>이번 행사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주관하는 국책 과제인 '15년 빅데이터 시범사업'의 결과 발표 및 전시를 위해 개최됐다.</p>
<p>대우조선해양이 주관하며 더존비즈온 및 융합산업연합회가 참여한 국책연구는 지난 6월부터 빅데이터를 활용한 '선박 신수요 예측 플랫폼 및 선박 유지·보수MRO(Maintenance, Repair & Operation)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p>
<p>이 날 공개된 선박 신수요 예측 플랫폼은 물동량, 해운관련지표 등의 자료를 분석해 각 선종, 항로별 운항효율과 시장에 대한 예측 및 분석을 제공한다.</p>
<p>독자 개발한 분석 엔진을 활용해 하루 1천만건 이상의 전세계 선박 운항 데이터를 처리한다.</p>
<p>대우조선해양은 빅데이터를 활용해 선박, 항만, 선급(선박 검사 기관), 수리 조선소, 기자재업체를 연계하는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의 개발 진행 상황도 함께 공개했다.</p>
<p>대우조선해양은 세계 최초로 구축된 선박 수요 예측 플랫폼 및 유지·보수 시스템을 오는 12월까지 개발 완료해 향후 자사 제품 전략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p>
<p>전시회에 참석한 대우조선해양 엄항섭 중앙연구원장(전무)는 "조선·해운 관련 데이터 분석의 경우 해외 전문 기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다"며 "회사가 개발 중인 시스템이 안착하면 한국 조선산업 경쟁력 제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p>
![]() |
빅데이터 성과보고회에서 대우조선해양 엄항섭 중앙연구원장(맨 오른쪽)이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차관(맨 왼쪽)에게 선박 신수요 예측 플랫폼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 대우조선해양) |
이정훈 한경닷컴 QOMPASS뉴스 기자 lee-jh0707@hanmail.net
[한경닷컴 바로가기] [중국자유무역지구(FTZ)포럼]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