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세계 면세점산업을 계속 주도하리라는 보장이 전혀 없다.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각국이 한국을 따라잡겠다고 나섰고, 유럽 등도 인수합병으로 몸집을 불려가고 있다. 글로벌 회사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구도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든 경쟁력을 높여 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쪽으로 가지 않으면 언제 밀려날지 모를 상황이다. 하지만 한국은 지금 면세점의 새로운 성장을 고민하기는커녕 한정된 국내시장 파이를 놓고 ‘나눠먹기식’ 게임에만 몰두하는 양상이다.
정부나 정치권은 오히려 역주행을 하고 있다. 시장점유율이 높거나 규모가 큰 기업을 배제하자거나 수수료율을 인상하자는 것 등이 그렇다. 다른 나라는 대형화로 가는데 한국만 소규모로 가면 글로벌 경쟁에서 이길 수 있겠나. 이는 자살행위와 다름없다. 수수료율 인상도 근본적 개선책이 될 수 없다. 면세점 특혜시비가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정부가 특허권으로 진입장벽을 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답은 자명하지 않은가. 다른 나라처럼 그리고 특혜논란이 없는 영업용 보세창고처럼 누구든지 최소한의 요건만 갖추면 시장에 뛰어들 수 있도록 진입장벽을 깨버리는 것이다. 기존의 특허제를 신고제로 바꾸면 된다. 그렇게 해서 능력 있는 사업자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면 글로벌 경쟁력도 높이고 시장 파이도 키울 수 있다. 규제에서 성장 지원 쪽으로 면세점 정책의 일대 전환이 필요한 때다.
[인터뷰] 가치투자의 달인, "휘열" 초보개미 탈출비법 공개
[강연회] 가치투자 '이채원.최준철.이상진' 출연...무료 선착순 접수중 (11.6_여의도 한국거래소)
[한경닷컴 바로가기] [중국자유무역지구(FTZ)포럼]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