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임대료가 뛰면서 대학로의 소극장이 사라지고, 홍대앞의 개성 있는 청년 상점들이 떠나는 것은 문화다양성 면에서도 안타까운 일이다. 그 자리를 프랜차이즈와 주점들로 채워선 앞날이 밝다고 보기도 어렵다. 하지만 서울시 대책은 유기체와 같은 도시의 변화를 이해하지 못한 규제편향이 아닐 수 없다. 잘해야 현 상태 고수전략이다. 이는 균형발전론과도 모순되고 재산권 침해 소지도 크다.
젠트리피케이션에도 빛과 그림자가 있다. 기존 임차인이 밀려나는 문제가 있지만 낙후지역 활성화로 저소득층에게 더 많은 경제적 기회를 제공한다는 해외 연구결과도 있다. 뉴욕의 우범지대였던 브루클린의 변신이나 브로드웨이가 오프 브로드웨이, 오프오프 브로드웨이로 확장한 게 그런 사례다. 젠트리피케이션은 지엽적인 규제로 막을 수 있는 게 아니다. 그 흐름을 수용하면서 도시 전체의 매력을 높일 큰 그림이 필요하다. 지금 서울시는 도시의 진화를 막고 있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