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국 유럽연합(EU) 등 140여개국 정상과 196개 당사국 대표가 참석, 다음달 11일까지 2주간 여는 회의에서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온실가스 감축 방식과 규모에 대해 첨예한 공방이 벌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기존 교토의정서체제와 달리 이번에 확정될 ‘신(新)기후체제’에서는 개발도상국도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지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29일 출국했다.
이번 회의의 목표는 1997년 출범한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기후변화 대응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다. 참가국들은 ‘2100년까지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2도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한다’는 목표를 달성할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당사국들은 2020년 이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UN에 제출했다. 한국도 2030년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37%를 줄이겠다는 목표를 올 6월 발표했다. 산업계는 “한국은 제조업 위주의 산업구조인 데다 에너지 효율이 세계 최고 수준이란 점에서 버거운 목표”라고 지적하고 있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
[인터뷰] 가치투자의 달인, "휘열" 초보개미 탈출비법 공개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