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광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예산안 검토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명시이월(明示移越) 예산은 120건에 1540억8000여만원에 달했다.
명시이월은 부득이한 사유로 해당 연도에 지출할 수 없는 사업을 의회 승인 뒤 다음 연도로 넘겨 집행하는 것으로 '회계연도 독립의 원칙'에는 반(反)하지만 예산집행의 신축성 유지를 위해 인정되고 있다.
지난해 70건에 904억원과 비교해 건수와 액수 기준으로 40% 이상 급증했다. 2013년에는 49건에 501억9000여만원이었다.
올해 추경 전 의회에서 확정한 2132억원 중 555억7000만원만 집행하는데 그쳐 1500억원 이상이 고스란히 남은 셈이다.
옛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을 리모델링하는 청소년복합문화센터 조성사업비는 87억4000여만원을 세웠으나 한푼도 사용하지 못했다.
시정 주요시책 용역비 3억원도 1000만원만 집행한 채 나머지는 감액과 이월됐다. 특히 사업취소 등으로 전액 감액된 사업이 56건에 40억원에 달했다.
참여혁신단은 공유단체 기업공유촉진사업비 5천만원 등 무려 20건(2억7000만원)을 한푼도 집행하지 못하고 내년도로 넘기게 됐다.
관광진흥과도 광주전남공동 무안공항 정기노선·KTX연계상품운영 사업비, 중국문화원 광주분원유치활동비 등 9건(2억4000여만원)이 이월됐다.
보고서는 충분한 사전 검토없이 주먹구구식 예산편성의 사례로 어렵게 확보한 예산이 적재적소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행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광주시의회 조오섭(북구2) 의원은 "명시이월이 많다는 것은 정작 필요한 다른 사업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일단 세워놓고 보자'식의 예산 편성 관행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눈'에 힘주는 스마트폰…일반인도 영화감독처럼] [벤츠 사장 "SUV 라인업 6종으로 확대…내년 한국 판매량 2배↑"] ['맞고' 치는 카카오…게임 플랫폼 자존심 회복하나] [삼성 사장단 53 → 52명 축소…8명 사장 보직 해임] [세계 남성복의 중심 '삐띠워모'가 간택한 정욱준…비결은?]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