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중 성균관대 교수 분석
과태료면 될 것을 징역형
비합리적인 법체계 때문에 강력흉악범죄 갈수록 급증
[ 황정수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12/2015120366651_AA.10948184.1.jpg)
김일중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는 3일 자유경제원 주최 토론회에서 ‘규제입법과 범죄화입법의 과잉이 낳은 폐해’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을 보면 형사처벌을 규정한 국내 법률 862건(2013년 초 기준) 중 88%인 760건이 행정규제 위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전용도로지만 횡단보도 등이 갖춰져 있는 양재대로에서 자전거를 탔다는 이유로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는 도로법이 대표적이다.
행정규제 위반을 형벌로 제재하다 보니 전과자가 급증하고 있다. 작년 기준 전과자 수는 15세 이상 성인의 약 25%인 1150만명이다. 행정규제 위반에 대한 형사처벌은 살인 등 강력 흉악범죄가 2000년대 들어 연 4.8%씩 급증한 데도 영향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 검찰 법원 등 법집행기관이 행정규제 위반 형사처벌에 역량을 쏟다 보니 강력 흉악범죄 억지력이 떨어졌다는 분석이다. 김 교수는 2000~2013년 법집행기관의 억제력 감소 때문에 발생한 강력 흉악범죄를 전체 강력 흉악범죄의 약 5.2%로 추정했다. 이 때문에 발생한 사회적 비용은 2013년 기준 약 4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