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kyung.com/photo/201512/201512049504a_01.10951748.1.jpg)
저금리 영향으로 은행 이자 수익이 줄어들면서, 집주인들이 전세를 기피하면서 월세전환을 가속시키고 있다. 이에 전세입자들의 매매전환이 크게 증가하면서, 가계빚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금융전문가들은 “LTV(주택 담보비율) 및 DTI(총부채상환비율) 규제 완화도 주요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라고 말했다.
앞으로 미국 금리가 본격적으로 인상되는 시점이 다가오면, 글로벌 경제는 외환유출과 달러가치 상승으로 자국의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빚이 심각한 상황에서 주택 및 아파트 담보대출금리 부담 증대가 예상된다.
특히 이자 부분만 우선 납입하는 거치형을 선택한 수요자들은 거치기간이 종료되면, 원금도 함께 상환해야 하기에 부실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다. 더불어 금융사의 위험 부채 비율도 21.6%로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빚 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164.2%를 기록하며 OECD 평균 135%를 크게 웃돌았다.
금융 전문가들은 “지금처럼 가구당 빚이 한계치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금리가 오르거나 집값이 하락할 경우 서민경제에 큰 충격을 줄 가능성이 높다."라고 언급했다.
무엇보다 채무자들의 43.92%가 금리 하락을 예상하고 변동금리를 선택했다. 반면 고정금리 이후 변동으로 바뀌는 혼합형은 46.62%에 불과했다. 물론 혼합형도 3년 or 5년 이후에는 변동으로 전환되지만, 지금처럼 불확실성이 확대된 시기에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특히 변동금리 대비 금리 차이가 나날이 좁혀지면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 한경닷컴 뱅크.아울렛(www.hk-bank.co.kr / 1600-2599)에 따르면 “대내외적인 요인으로 기준 금리가 점진적이라도 오름세를 보인다면 상당한 부담이 될수 있다. 특히 경제 상황이 녹녹치 않은 상황이기에 더욱 신중한 판단이 더욱 요구된다."라고 밝혔다.
![](http://www.hankyung.com/photo/201512/201512049504a_01.10951401.1.jpg)
주택담보대출금리비교 서비스를 활용하면 “직접 은행에 방문하지 않아도 간단한 통화만으로 전 금융사별 금리 및 한도 등 조건을 무상으로 손쉽게 비교할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부동산 투자를 할때 시중은행 및 보험사 등 금융권에서 자금을 빌려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단기간 자금보다는 장기간 사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