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을 자극할 가능성을 의식해 흡수통일을 공개적으로 내걸 수 없었다면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흡수통일을 반대하며 김정은 정권을 동반자로 한 ‘평화통일’을 말하는 것이라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UN이 북한의 열악한 인권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고 ‘책임자’들을 효과적으로 제재할 것을 안전보장이사회에 촉구하는 내용을 담은 북한인권결의안을 통과시킨 지가 한 달이 안 됐다. 김정은 정권이 국제적으로 기소될 것인지가 문제되는 상황인 것이다. 우리 헌법도 우리가 지향해야 할 통일이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제4조)임을 명시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2014년 드레스덴 선언을 통해 밝힌 통일도 북한의 개방·개혁을 전제로 한 자유민주 통일이다. 통일을 준비한다는 한국 통준위 부위원장이 미국에 가서 무슨 뚱딴지같은 소리를 하고 있는 것인가.
정 부위원장은 지난 3월 한 세미나에서도 흡수통일을 준비하고 있다는 요지로 말했다가 일부 언론의 지적을 받자 “통준위에는 흡수통일 준비팀이 없고, 연구도 하지 않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설마 연방제 통일도 수용한다는 것인지 의문을 갖게 된다. 흡수통일을 포함한 ‘자유민주주의에 입각한 통일’이라는 통일 비전을 갖고 있지 않은 인사가 통준위를 이끌 수는 없다. 제대로 된 해명이 필요하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