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영향이 결코 작다고 볼 수 없다. 미국과 반대로 유럽 일본 중국이 통화 완화정책을 펴는 미스매치도 세계가 경험하지 못한 환경이다. 하지만 무려 7년을 끈 제로금리를 정상화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오히려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양적 완화 등 초(超)재량적 통화정책을 주저없이 펼 만큼 권한이 비대해진 게 문제다. 그린스펀 전 의장 이래 오진과 오판을 거듭해온 중앙은행이 오히려 위기를 유발했다는 지적도 있다. 때문에 재량적 판단을 배제하고 물가, GDP갭 등 공식대로 금리를 결정케 하는 Fed 통제법안이 지난달 미 하원에서 통과됐을 정도다. 그만큼 중앙은행에 대한 회의론이 팽배하다.
금리정책이 경기과열을 진정시키는 효과는 있어도 침체한 경제를 살리진 못한다. 구조조정과 혁신 외엔 방법이 없다. 더구나 중앙은행은 전지전능한 존 怜?아니다. 그럼에도 제로금리가 만병통치약이고 중앙은행이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것처럼 호도하는 이들이 있다. 필시 제로금리에 중독됐거나 금리인상을 저지해야 이득을 보는 세력일 것이다. 이런 포퓰리즘적 압력이 가해질 때 과연 중앙은행이 독립적인 금리정책을 펼 수 있을지 의문이다. 우리나라에도 희망사항을 전문가적 식견인 양 내놓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