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등 시장 불투명
건설사 '위험관리'…관망세
[ 김진수 기자 ]
![](http://www.hankyung.com/photo/201512/2015122198841_AA.11028374.1.jpg)
부동산 개발업체 네오밸류는 지난 18일 인천 도화지구 주상복합 부지 입찰에 단독 응찰해 내정가의 115%인 1671억원에 땅을 확보했다. 지난 17일 실시된 경기 화성시 동탄2신도시 A67블록 추첨에도 개발업체 엠디엠만 입찰했다. 가격이 2309억원인 이 부지에는 전용 85㎡ 이하 1538가구를 지을 수 있는 땅이다. 토지 사용 시기가 이달 이후여서 대금만 6개월 내 납부하면 바로 분양을 할 수 있다.
지난 11일 전북 전주 에코시티 2블록 땅 입찰도 마찬가지였다. 당초 호반건설 EG건설 등 중견 주택업체들이 뛰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결과는 일신건영이 단독으로 응찰해 예정가의 131%인 280억원을 써내 낙찰받았다. 대형 평형까지 402가구를 지을 수 있는 땅으로 토지 사용 시기는 2017년 3월이다. 최근 경기 평택 고덕국제도시 A16블록 입찰엔 신안그룹 계열의 신안과 신안인스빌 2개 업체만 참가했다. 중대형 613가구를 지을 수 있는 부지로 땅값은 787억원이다. 2017년 9월부터 분양할 수 있다.
아파트 용지 경쟁률이 이처럼 떨어지고 있는 것은 내년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전망이 불투명해 상당수 건설회사가 관망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 중견업체 용지담당 팀장은 “택지지구에서 아파트 사업을 하는 중견 주택업체들은 이미 내년 사업지를 충분히 확보한 상태”라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