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티비 게임즈는 지난 16강 1주차 경기 이후 내부 논의를 거쳤고 스타크래프트 II 프로팀 감독 및 소속 선수들의 서면 동의를 비롯,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등 스타리그와 관련된 다양한 관계자들과의 논의한 끝에 변경안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변경사항 적용 후, 16강부터 결승 진출자가 가려지는 경기 전까지 모든 경기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바뀌게 된다. 본선에서 패배한 선수들은 루저스 브라켓에서 다른 패배한 선수들과 또 한 번 경쟁을 통해 회생 기회를 얻으며 루저스 브라켓에서 패배할 시 리그 최종 탈락으로 인정된다. 위너스 브라켓과 위너스 브라켓에서 승리한 각각의 선수가 최종 결승에 오르게 된다.
![]() | ||
위너스 브라켓에서 최종 결승에 진출한 선수에게는 특별한 이점을 제공한다. 한 번도 패하지 않고 최종 결승에 오른 만큼, 위너스 브라켓 최종 결승 진출자는 결승 경기에서 가장 중요한 첫 번째 세트의 맵 선택권을 가지게 되며 이어지는 세트의 맵 선택은 기존 스타리그 2016 시즌1의 맵 선정 방식에 따라 진행된다.
변경된 경기 방식에 따라 지난 주 16강 1주차에서 승리를 거둔 신희범(CJ ENTUS_RagnaroK)과 변현우(X-Team_ByuN)는 승자조 8강에 진출하게 되며, 패배한 이신형(SK Telecom_INnoVation)과 어윤수(SK Telecom_soO)는 패자조에서 상위 진출권을 놓고 경쟁을 하게 된다.
스타리그 2016 시즌1은 경기 방식 변경과 관계없이 예정대로 총 14주 간 진행된다. 다만 변경된 경기 방식에 맞춰 주차별 경기 일정은 다소 조정된다.
![]() | ||
지승희 한경닷컴 게임톡 기자 gameqp@naver.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