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개 생명보험사 변액보험 자산 수익률 비교…미래에셋 13.8%·푸르덴셜 18%로 가장 높아

입력 2016-01-17 19:32  

[ 류시훈 기자 ] 미래에셋생명이 최근 3년간 변액보험 자산 수익률에서 가장 좋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기준으로 따져 보면 푸르덴셜생명의 수익률이 가장 높았다.


17일 생명보험협회 공시실에 따르면 23개 생명보험사 가운데 미래에셋생명의 최근 3년(2013~2015년) 변액보험 자산 수익률이 13.82%로 가장 높았다. PCA생명(12.69%)이 뒤를 이었고, 푸르덴셜생명(9.73%), 메트라이프생명(8.71%) 등의 순이었다.

23개사가 최근 3년간 운용해온 787개 펀드에 포함된 변액보험 자산을 회사별로 분류해 수익률을 계산한 것이다. 이들 펀드에 포함된 생명보험사의 변액보험 순자산은 91조5159억원이었고, 평균 수익률은 6.42%로 집계됐다.

최근 5년(2011~2015년) 운용된 펀드 678개에 포함된 변액보험 자산을 기준으로 보면 푸르덴셜생명의 수익률이 18.02%로 가장 높았다. 삼성생명이 14.30%로 2위였고, 교보생명(11.70%), 미래에셋생명(11.59%), PCA생명(11.27%)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변액보험은 계약자가 납입한 보험료의 일부로 펀드를 조성하고 그 운용 실적에 따라 계약자에게 투자수익을 배분하는 장기 상품이다. 생명보험사들은 △노후보장을 위한 변액연금보험 脩潁졺맛揚?위한 변액종신보험 △장기투자 목적의 변액유니버설적립보험 등 다양한 변액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변액보험은 노후 자금 준비까지 염두에 두고 투자하는 상품인 만큼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률을 달성하는 게 중요하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변액보험 자산 수익률은 보험사의 운용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 가운데 하나”라며 “변액보험 상품에 관심을 갖고 있는 소비자가 회사를 선택할 때 참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3년간 수익률 1, 2위를 기록한 미래에셋생명과 PCA생명은 해외 투자 비중이 높은 게 특징이다. 2015년 9월 말 기준으로 미래에셋생명은 변액보험 순자산 가운데 악 60%를 해외 펀드에 투자하고 있다. PCA생명의 해외 투자 비중도 43.5%에 달했다. 23개사의 평균 해외 투자 비중은 9.4%에 불과하다. 변액자산의 90.6%는 국내 펀드에 투자하고 있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